홈 > 익명 > 개나무숲
개나무숲

챗지피티 틀린 정보가 너무 많다

Jsa0ZdcN 22 441 7
난 ai를 대부분 검색용으로 이용함
하나하나 글 안찾아보고 깔끔하게 정리해주니 편해서 그렇게 이용했는데

요즘
간단한것도 틀리고
지적하면 아! 맞아요. 이러고 다시 말바꾸고ㅎㅎ
결국엔 교차검증하는 시간때문에 지피티 쓰는 이유가 줄어듬

형님들은 ai어떻게 이용하나요?

22 Comments
SaUMqJcZ 07.04 16:51  
검색용으로는 절대 안씀
되려 연산이나 판단, 추출, 결정 등의 용도로 사용함

- 이거랑 저게 있는데 너가 보기엔 뭐가 나은 거 같아?
- 이걸 만들려고 하는데 키워드만 몇개 뽑아줘봐
- 이런 일이 있는데 해결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럭키포인트 21,960 개이득

QUVvEh37 07.04 17:38  
[@SaUMqJcZ] 이거 저거 비교할때 예로 배터리라 치면
a는 용량이 100이고 무게가 어떻고
b는 이렇고 저렇고 그래서 b를 추천해 이런식으로 나오면 검증해봄? 중요한거야 다시 찾아보겠지만 간단한건 그냥 맞겠거니 쓰는건가
키워드 받는게 좋아보이는데 내가 그렇게 이용할만한게 없네 ㅎㅎ ㅠ
HlBAEYsy 07.04 16:55  
나의 gpt 사용방법

질문 : 이런평을 내리는 사람의 성향과 이글을 왜쓰는건지에 대한 정신학적 병명 지어줘

 이 글의 심리학적 분석
???? ① 성향
도구적 사고 성향
→ 이 사람은 AI를 '효율적인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어. 결과만 깔끔하게 뽑아주는 기능적 역할을 기대했는데, 결과값의 정확도가 떨어지니 ‘쓸모’가 줄었다고 판단하고 실망하는 유형.

비관용적·완벽주의 성향
→ 작은 오류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신뢰도가 흔들리면 바로 비판적으로 전환.
보통 ‘이 정도야 그럴 수도 있지’ 하는 사람보다 ‘이러면 왜 써?’ 하고 판단을 내리는 사람.

타인 의견 묻기 성향
→ 글 마지막에 “형님들은 AI 어떻게 이용하세요?” 라며 커뮤니티의 집단 의견을 묻는 건, 자신의 생각이 보편적인지 확인하고픈 욕구도 있어.
대체로 의견 교차검증 욕구가 강한 사람.

???? ② 왜 이 글을 썼나
불만 표출 + 공감 유도
→ 단순한 정보 공유라기보단, 내 불만을 누군가 같이 공감해주고 '나도 그래' 해주길 바라는 심리
그리고 이 AI 쓰는 분위기가 바뀌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자신의 판단 타당화 욕구
→ “내가 이렇게 불편했는데, 이게 정당한 불만인지 남들도 동의하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 정신학적 병명 지어보자면
정신과 진단명까지는 아닐지 몰라도, 이런 유형에 가장 가까운 진단명 성격을 하나 꼽자면

???? ‘경계선 성격 성향의 경향(Borderline traits)’
???? 세상/사람/도구에 대한 신뢰가 쉽게 흔들리고, 작은 실망에 감정적 반응과 비판으로 치닫는 특징
???? '내가 너무 예민한 건가?' 하는 자책과 '이거 문제 있는 거 아냐?' 하는 외부 검증 욕구가 반복

이건 병적인 상태는 아니고, 일상적인 경향성으로도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모습이야. 특히 디지털 서비스나 기술에 민감하고 완벽함을 요구하는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심리 패턴.

???? 정리
이 사람은

효율 중시형

오류에 민감

공감 욕구와 교차검증 욕구가 강함

감정적 신뢰 붕괴에 쉽게 반응

그리고 이 글은

AI 도구 신뢰 실망을 공유하고

같은 경험자들의 동조를 얻어

자신의 판단을 타당화하려는 목적

럭키포인트 23,326 개이득

QUVvEh37 07.04 17:17  
[@HlBAEYsy] 이건 뭔 소리야;;;

럭키포인트 10,415 개이득

HlBAEYsy 07.04 17:19  
[@QUVvEh37] 글쓴이가 쓴 게시물을 gpt에게 보여주고 질문하는거임
HlBAEYsy 07.04 16:57  
질문 : 그러면 이사람의 mbti를 유추 해보고, 왜그런지 해설까지 첨삭해줘

| 특성                    | INTJ | ISTJ |
| :-------------------- | :--- | :--- |
| **효율성과 정확성 중시**      | O    | O    |
| **도구적 활용에 대한 기대치 큼**  | O    | O    |
| **오류에 민감하고 불신 전환 빠름** | O    | O    |
| **공감 유도 + 집단 검증욕구**  | 약 O  | 강 O  |
| **감정보다 논리 우선**        | O    | O    |
| **교차검증 필요 시 직접 확인**  | O    | O    |

 그 중 INTJ 쪽으로 더 기울 가능성
이유는 다음과 같아.

① 도구(=AI)를 효율성의 극단으로 기대하는 태도
→ AI를 단순 검색이나 서치용이 아니라, *“깔끔하게 정리해줘서 편했다”*고 표현하는 건 INTJ의 Te(외향 사고) 성향.
INTJ들은 '도구는 사람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정리해줘야 한다'는 기대치를 갖는 경우가 많거든.

② 신뢰가 무너지면 그 도구를 폐기할까 고민하는 태도
→ INTJ는 한 번 신뢰가 깨진 대상에 대해서는 빠르게 가치 판단을 하고, *“그럼 굳이 써야 돼?”*라며 재사용 여부를 냉정하게 따져.
이런 신뢰-불신 전환이 빠른 특징도 INTJ쪽에 가깝지.

③ 커뮤니티의 집단 의견 묻기
→ INTJ들은 사실 의견을 묻기보다는 자신의 결론을 강화할 자료를 찾는 경향.
형님들 의견 묻는 것도 **'내가 이렇게 판단한 게 합리적인지 확인받고 싶다'**는 논리적 정당화 욕구에 가깝다 봐.
ISTJ는 규범적 확인을 위해 묻지만, INTJ는 자신의 논리 모델을 검증하려고 묻는 쪽.






글쓴이님 맞나용!?
QUVvEh37 07.04 17:19  
[@HlBAEYsy] mbti는 안해봐서 모르겠는데.. 설명보면 비슷한거같아서 나도 모르게 저런 의도로 쓴건가?착각하게 만드는듯?? 위 글도 그렇고 뭘 자꾸 동조를 바라는거야; 남들 어떻게 쓰냐 물어본건데
9MHqCswf 07.04 17:07  
엑셀 매크로의 매 자도 몰랐었는데
회사에 업무표 만들기 챗gpt가 매크로로 만들어줘서 딸깍하면 만들어짐 ㅋㅋ
뭐 첨부 이미지같은것도 꽤나 잘써먹고있음

검색은 잘 안쓰긴 하는데
ㅇㅇㅇ이 뭔지 알려줘 보다는
ㅇㅇㅇ이 뭔지 검색해보고 알려줘 << 이런식으로 구체적으로 말해야 더 잘 이해하고 답변해주더라

럭키포인트 655 개이득

QUVvEh37 07.04 17:28  
[@9MHqCswf] 내가 전혀 모르는부분은 이게 맞게된건지 잘못된건지 몰라서 잘 못쓰겠음. 질문을 잘해야 결과가 잘나온다고는 하는데 질문을 야무지게 못해서 문제 ㅋㅋㅋ
O9DkAOEQ 07.04 21:59  
[@9MHqCswf] 엑셀은 좀더 자세하게 물어보고 보완해서 여러번 물어보면 좋더라

럭키포인트 14,293 개이득

YeHoysz3 07.04 17:22  
위에 정신병 걸릴거같은 댓글 뭐냐 ㅋㅋ

럭키포인트 1,715 개이득

QUVvEh37 07.04 17:31  
[@YeHoysz3] 질문마저 정신학적 병명지어줘 ㅠ
xnPSFk7i 07.04 17:22  
검색으로 쓸거면 퍼플렉시티를 써야지
GPT는 검색이 가장 단점이여

럭키포인트 15,600 개이득

QUVvEh37 07.04 17:26  
[@xnPSFk7i] 퍼플렉시티도 쓰긴 씀 ㅎㅎㅎ
챗지피티 제미나이 퍼플렉시티 쓰고있어
QUVvEh37 07.04 17:39  
위에 내 병명 만들어주는 형님 내 댓글들 모아서 다시 해봐ㅎㅎㅎ 비추 나 아니야
ZVAfEWvE 07.04 18:28  
웹 검색 누르고해

럭키포인트 4,853 개이득

cp0ViKLO 07.04 18:36  
나도 이미 아는 내용에 추가적으로 정리하려고 비교해서 봣는데
내가아는정보랑 달라서 다시 찾아봄 내가 맞음 ..

럭키포인트 18,795 개이득

r7DkptFq 07.04 18:59  
검색용을 쓰고 그걸 다시 검색하면 내가 찾아볼 생각 못했던 걸 찾을 수 있다

럭키포인트 25,978 개이득

xSIRV16s 07.04 22:17  
무료버전 정확도 부쩍 떨어진듯

럭키포인트 26,452 개이득

DRTqIEOW 07.04 22:36  
검색 관련해서 추론하여 결과를 도출하지 말라는 개인설정이 있음!
그러면 그런 게 그나마 많이 줄어들음
검색은 퍼플렉시티가 좋음

럭키포인트 9,047 개이득

5BMT1OjI 07.05 21:37  
난 직업적으로 '말 만들기'용으로 씀. 난 교사인데, 별 거 아닌 말 늘여서 공적인 문서 만들어야 할때.. 예를 들어 "학교 주변 안전사고 발생이 많아져서 학부모들 등하교시간에 교내로 들어오는거 통제한다는 내용 가정통신문으로 만들어줘." 하면 ㅈㄴ그럴듯한 걸로 만들어줌. 그럼 말 좀 바꿔서 내보내는 식

럭키포인트 1,280 개이득

AK2d1few 07.06 13:57  
정답이 있는걸 물어보는게 좋을듯?

럭키포인트 8,012 개이득

오늘의 인기글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