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베스트 > 베스트
베스트

Best Comment

BEST 1 바빈스키  
직 소아과 의사다. 이런 종류의 정보글을 나는 소위 "예쁜 똥"이라고 지칭한다. 그럴듯하게 보기 좋게 정리해놨다고 해서 맞는 말은 아니라는 뜻.

1. 아스피린 vs 타이레놀
아스피린은 옛날옛날에는 진통제로 처방되었던 것이 맞지만 요새는 그런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아. 현재는 흔히 '항응고제'라고 해서 혈전(피떡) 생성을 예방하는 목적으로만 사용하길 권장하고 있어. 진통제 목적으로 이것을 먹는다는 것은 비아그라를 고혈압약으로, 스테로이드연고를 보습로션으로 쓰는 것 만큼 어리석은 일이지. 아스피린은 항응고제(심근경색, 뇌졸중 2차 예방 용도)로 쓴다고만 생각하고, 아스피린은 진통제라는 개념은 아예 지워버리는 것이 더 현명하다. 아스피린을 진통제로 잘못 먹었다가 소아의 경우 간이 씹창나는 경우(Reye syndrome)도 있고, 성인은 잘못해서 위출혈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다. 잘 알아보고 위험성(risk)과 이득(benefit)을 저울질 해서 조심스럽게 써야 하는 약이지(물론 필요할 때 안쓰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도 없고). Risk-benefit을 따졌을 때 아스피린을 진통제로 쓴다는 것은 error.
차라리 비교를 하려고 했다면 타이레놀(acetaminophen) vs 부루펜(NSAIDs)로 비교를 하는 것이 맞아. 흔히 해열진통제(타이레놀) vs 소염진통제(부루펜,NSAIDs). 다시 말하지만 아스피린은 이제 진통제라는 개념 자체를 지워버리는 것이 맞아.
BEST 2 바빈스키  
2. 후시딘 vs 마데카솔
상처에 연고(oint)를 바르는 이유는 뭘까? 그 답은 '보습'이야. 피부가 촉촉하게 보습이 되어있으면 세포의 재생이 월할하게 되고 상처 회복이 빨라지지. 그런데 피부의 재생이 잘 된다는 뜻은 피부에 묻어있을 수 있는 세균의 번식도 잘 된다는 뜻이야. 그래서 세균의 번식은 억제하고 피부의 재생만 도와주자는 의미에서 연고에 항생제 성분을 섞어준 것이 후시딘이야. 그럼 후시딘 안에 있는 항생제 성분이 피부의 세균을 확실하게 살균할 수 있을까? 대부분의 의사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살균이 꼭, 반드시, 아주아주 중요하게 필요한 경우라면 확실하게 소독을 하거나 먹는 항생제를 처방하지. 따라서 후시딘 안의 항생제 성분은 '음...그래도 없는 것 보다는 낫지 않겠어?'란 느낌 정도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아.
BEST 3 바빈스키  
2. 마데카솔 vs 복합 마데카솔
마데카솔은 무엇이냐? 마데카솔이 피부재생을 도모하는 메카니즘 역시 동일해. 연고 성분의 피부보습이지. 그런데 여기서 마데카솔은 '생약'성분을 첨가했어. 과거에 풀잎을 짖이겨서 상처에 바르는 것이 조금 진화한 형태라고 볼 수 있지. 좀 심하게 말해서 바세린에 풀잎즙 섞은거다. 여기에 첨가된 생약 성분이 피부재생/항균에 얼마나 도움이 되냐는 질문은 각자의 믿음에 맏길게. 근데 나는 개인적으로 생약에서 인체에 도움이 되는 성분을 정제하고 정량화 한 것이 '의약품'이라고 믿는다.ㅎ
그럼 복합마데카솔은 무엇이냐? 기존 마데카솔에 항생제와 스테로이드 성분을 섞은 것이다! 후시딘+락티케어+풀잎이라고 보면 돼, 스테로이드는 습진이라던가 기타 피부염증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어서 의사들은 대부분 적당량을 잘 쓴다면 큰 문제가 없다고 이야기하지. 그런데 일반적으로 기존 의약품 대신 마데카솔을 선호하는 분들은 대부분 항생제 공포증, 스테로이드 공포증, 생약 예찬론자분들이라서...만일 쓰려거든 알고서 잘 쓰기를 바랄게.
40 Comments
프로댓글러 2018.03.29 13:16  
의약품 차이 ㅇㄷ

럭키포인트 274 개이득

갓지효 2018.03.29 13:18  
어차피 아무거나 쓸꺼지만 ㅇㄷ

럭키포인트 178 개이득

세경 2018.03.29 13:19  
의약품 차이 ㅇㄷ

럭키포인트 24 개이득

딕고 2018.03.29 13:26  
ㅇㄷ 뿅

럭키포인트 623 개이득

으남적 2018.03.29 13:30  
ㅇㄷ

럭키포인트 628 개이득

정정 2018.03.29 13:31  
의약품 ㅇㄷ

럭키포인트 1,135 개이득

원아이드잭 2018.03.29 13:34  
의약품 차이 ㅇㄷ
좋은정보 2018.03.29 13:34  
의약품 차이 ㅇㄷ

럭키포인트 228 개이득

고고 2018.03.29 13:35  
마데카솔복합 쓰면 후시딘 없이 두마리 토끼를 잡을수잇딩

럭키포인트 1,062 개이득

Firebat 2018.03.29 13:45  
선 후시딘 후 마데

럭키포인트 95 개이득

팡팡 2018.03.29 13:46  
그런데 정작 약국에 가서 둘 다 사려고 하니까 같은 약 뭐하러 두 개 사냐고 하더라고.
이거 전에 봐서 이 이야기 했더니 별 차이 없다고 하나만 사라고 하던데...

럭키포인트 1,319 개이득

musicbox 2018.03.29 13:51  
ㅇㄷ

럭키포인트 970 개이득

포로포로 2018.03.29 13:55  
좋은정보닷

럭키포인트 320 개이득

장동민 2018.03.29 14:03  
타이레놀 먹지말라던데

럭키포인트 544 개이득

큰터 2018.03.29 14:06  
생활약품 ㅇㄷ

럭키포인트 891 개이득

네오지오88 2018.03.29 14:17  
꿀팁
마이너 2018.03.29 14:17  
와 개꿀팁이다 이건

럭키포인트 890 개이득

바빈스키 2018.03.29 14:35  
직 소아과 의사다. 이런 종류의 정보글을 나는 소위 "예쁜 똥"이라고 지칭한다. 그럴듯하게 보기 좋게 정리해놨다고 해서 맞는 말은 아니라는 뜻.

1. 아스피린 vs 타이레놀
아스피린은 옛날옛날에는 진통제로 처방되었던 것이 맞지만 요새는 그런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아. 현재는 흔히 '항응고제'라고 해서 혈전(피떡) 생성을 예방하는 목적으로만 사용하길 권장하고 있어. 진통제 목적으로 이것을 먹는다는 것은 비아그라를 고혈압약으로, 스테로이드연고를 보습로션으로 쓰는 것 만큼 어리석은 일이지. 아스피린은 항응고제(심근경색, 뇌졸중 2차 예방 용도)로 쓴다고만 생각하고, 아스피린은 진통제라는 개념은 아예 지워버리는 것이 더 현명하다. 아스피린을 진통제로 잘못 먹었다가 소아의 경우 간이 씹창나는 경우(Reye syndrome)도 있고, 성인은 잘못해서 위출혈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다. 잘 알아보고 위험성(risk)과 이득(benefit)을 저울질 해서 조심스럽게 써야 하는 약이지(물론 필요할 때 안쓰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도 없고). Risk-benefit을 따졌을 때 아스피린을 진통제로 쓴다는 것은 error.
차라리 비교를 하려고 했다면 타이레놀(acetaminophen) vs 부루펜(NSAIDs)로 비교를 하는 것이 맞아. 흔히 해열진통제(타이레놀) vs 소염진통제(부루펜,NSAIDs). 다시 말하지만 아스피린은 이제 진통제라는 개념 자체를 지워버리는 것이 맞아.

럭키포인트 973 개이득

뿌잉삐용 2018.03.29 17:05  
[@바빈스키] 크 킹갓엠페러개집러ㄷㄷㄷ

럭키포인트 1,443 개이득

마시리스 2018.03.29 18:06  
[@바빈스키] 레알 난 아스피린 해열제라고 알고있었는데
그리고 무슨 아스피린 개발대회 인가 거기에서
타이레놀이 만들어졌다고 들은거 같은데

럭키포인트 1,329 개이득

주모 2018.03.29 19:53  
[@바빈스키]

럭키포인트 890 개이득

sdfdjknkjdfghkj 2018.03.29 20:32  
[@바빈스키] 비염대문에 두통이 심한데 매일 타이레놀 먹었는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부루펜,NSAIDs

요고로 바꺼야 겠네용

럭키포인트 365 개이득

바빈스키 2018.03.30 06:42  
[@sdfdjknkjdfghkj] 비염 때문에 두통이 심하면 진통제만 먹고 볼게 아니라 비염을 치료해야지

럭키포인트 1,442 개이득

sdfdjknkjdfghkj 2018.03.31 19:35  
[@바빈스키] 비염을 치료해도해도 아픈건 어찌함여 만성비염같은디
ABP405 2018.03.29 23:11  
[@바빈스키] 또 하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럭키포인트 1,206 개이득

갓민경 2018.04.17 16:27  
[@바빈스키] 타이레놀도 엔세이드 아님?

럭키포인트 188 개이득

바빈스키 2018.03.29 14:36  
2. 후시딘 vs 마데카솔
상처에 연고(oint)를 바르는 이유는 뭘까? 그 답은 '보습'이야. 피부가 촉촉하게 보습이 되어있으면 세포의 재생이 월할하게 되고 상처 회복이 빨라지지. 그런데 피부의 재생이 잘 된다는 뜻은 피부에 묻어있을 수 있는 세균의 번식도 잘 된다는 뜻이야. 그래서 세균의 번식은 억제하고 피부의 재생만 도와주자는 의미에서 연고에 항생제 성분을 섞어준 것이 후시딘이야. 그럼 후시딘 안에 있는 항생제 성분이 피부의 세균을 확실하게 살균할 수 있을까? 대부분의 의사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살균이 꼭, 반드시, 아주아주 중요하게 필요한 경우라면 확실하게 소독을 하거나 먹는 항생제를 처방하지. 따라서 후시딘 안의 항생제 성분은 '음...그래도 없는 것 보다는 낫지 않겠어?'란 느낌 정도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아.
바빈스키 2018.03.29 14:36  
2. 마데카솔 vs 복합 마데카솔
마데카솔은 무엇이냐? 마데카솔이 피부재생을 도모하는 메카니즘 역시 동일해. 연고 성분의 피부보습이지. 그런데 여기서 마데카솔은 '생약'성분을 첨가했어. 과거에 풀잎을 짖이겨서 상처에 바르는 것이 조금 진화한 형태라고 볼 수 있지. 좀 심하게 말해서 바세린에 풀잎즙 섞은거다. 여기에 첨가된 생약 성분이 피부재생/항균에 얼마나 도움이 되냐는 질문은 각자의 믿음에 맏길게. 근데 나는 개인적으로 생약에서 인체에 도움이 되는 성분을 정제하고 정량화 한 것이 '의약품'이라고 믿는다.ㅎ
그럼 복합마데카솔은 무엇이냐? 기존 마데카솔에 항생제와 스테로이드 성분을 섞은 것이다! 후시딘+락티케어+풀잎이라고 보면 돼, 스테로이드는 습진이라던가 기타 피부염증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어서 의사들은 대부분 적당량을 잘 쓴다면 큰 문제가 없다고 이야기하지. 그런데 일반적으로 기존 의약품 대신 마데카솔을 선호하는 분들은 대부분 항생제 공포증, 스테로이드 공포증, 생약 예찬론자분들이라서...만일 쓰려거든 알고서 잘 쓰기를 바랄게.
달곰 2018.03.29 15:34  
[@바빈스키] 배아프고 열이나면 어떡할까여

럭키포인트 1,103 개이득

바빈스키 2018.03.29 17:47  
[@달곰] 여보세요 여보세요 배가 아파요
배아프고 열이 나면 어떡할까요
어느어느 병원에 가야 할까요
여보세요 여보세요 나는 의사요
배아프고 열이 나면 빨리오세요
여기는 소아과 병원입니다

럭키포인트 1,419 개이득

한치구이 2018.03.29 17:20  
[@바빈스키] 소아과의사 바빈스키 ㅇㄷ

럭키포인트 84 개이득

꾸찌남 2018.03.30 00:15  
[@바빈스키] 알고보면 진짜 별거 없지
립밤에 멘솔(menthol) 성분 좀 집어 넣으면 Medicated로 팔리는거랑 마찬가지 ㅋㅋㅋㅋ

럭키포인트 287 개이득

지방군 2018.03.29 14:44  
마데카솔만 쓰는데

럭키포인트 263 개이득

동E보감 2018.03.29 15:21  
의약품 차이
그냥아는오빠 2018.03.29 15:24  
의약품 ㅇㄷ

럭키포인트 937 개이득

잔느 2018.03.29 15:24  
마데카솔은 광고에서 새살솔솔이라고 말하는거땜에 재생효과로 구분하기 쉽던데 그래서 울집은 후시딘 마데카솔 두개사놓고 후시딘 바른다음 어느정도 소독됐다싶으면 마데카솔 바름
아스피린 타이레놀은 여친 사귀고 심부름하다보면 저절로 구분됨ㅋㅋㅋ

럭키포인트 201 개이득

쿼쿼 2018.03.29 15:41  
의약품 ㅇㄷ

럭키포인트 409 개이득

HillClimb 2018.03.29 15:55  
ㅇㄷ

럭키포인트 627 개이득

쵸파 2018.03.29 16:00  
의약품 구분 ㅇㄷ

럭키포인트 365 개이득

짭새지망생 2018.03.30 17:32  

럭키포인트 67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