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베스트 > 베스트
베스트

Best Comment

BEST 1 sooka  
이건맞지
BEST 2 수달이  
틀린말이 아니긴한데
그런데 그런건 잇긴함
공부가 근성에 대한 척도가 될 수는 있지만 절대적인 척도는 될수는 없음
무슨말이냐면, 어떤애는 놀거 다놀고 쪼금만 공부해도 1등하는애가 잇고, 다른애는 하루종일 공부만해도 중위권에서 맴도는애들도 있고.
사실 근성?만 따지면 후자인애가 더 나은건데, 공부만으로 이걸 따지자니 이것도 어째보면 역차별의 역차별도 될수도 있는거고....

아물론 당연히 저양반이 하는말에는 전체적으로 동감하긴 함
38 Comments
sooka 2020.03.16 23:17  
이건맞지

럭키포인트 2,032 개이득

dlqjstodeh 2020.03.16 23:18  
틀린말은 아니지.
그렇다고 성공의 기회가 적을뿐이지. 없는건 아니니 고졸, 지방대 화이팅!

럭키포인트 9,114 개이득

Jebediah 2020.03.16 23:22  
같은 수준의 결과를 바라는건 말이 안되지.
들인 노력만큼의 결과는 보장되어야되고.

럭키포인트 3,363 개이득

후룹 2020.03.16 23:27  
저분 문제인 조심해야겠네

럭키포인트 1,121 개이득

kjsRa 2020.03.16 23:29  
누가봐도 맞는말. 난 나보다 공부 못하던 애가 성공한건 괜찮고 진심으로 축하해줌. 근데 노력은 하지도 않으면서 고졸•지방대라서 차별받니 뭐니 쌉소리하는 것들은 꼴보기 싫음. 그럼 지금이라도 열심히해서 들어오던가 하면 "아니 그건 에바지" ㅇㅈㄹ

럭키포인트 1,922 개이득

수달이 2020.03.16 23:31  
틀린말이 아니긴한데
그런데 그런건 잇긴함
공부가 근성에 대한 척도가 될 수는 있지만 절대적인 척도는 될수는 없음
무슨말이냐면, 어떤애는 놀거 다놀고 쪼금만 공부해도 1등하는애가 잇고, 다른애는 하루종일 공부만해도 중위권에서 맴도는애들도 있고.
사실 근성?만 따지면 후자인애가 더 나은건데, 공부만으로 이걸 따지자니 이것도 어째보면 역차별의 역차별도 될수도 있는거고....

아물론 당연히 저양반이 하는말에는 전체적으로 동감하긴 함

럭키포인트 1,045 개이득

페니미스트 2020.03.16 23:35  
[@수달이] 역량이죠
결국 열심히하든 아니든 실력있으면 명문대 가는거임
표현을 노력으로 한거지 역량따라 가는거죠

럭키포인트 5,890 개이득

수달이 2020.03.16 23:39  
[@페니미스트] ㅇㅇ그렇긴하죠
요령이 부족한거일수도 있긴한데
주변에 그런 친구가 잇엇는데 너무 안됫엇어서.....
갑자기 떠오르내요
삼미자 2020.03.17 01:49  
[@수달이] 근성이 늘 업무에서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주지는 않지요
사실 이미 공부에서도 경험한 일이니까
그런 사람은 근성과 결과물이 직결되는 다른 일을 찾아서 하면 성공할 수 있겠죠
지식이나 지능, 기타 다른 능력이 필요한 일에 왜 나는 고졸, 지방대라고 안시켜주냐고 하면 억지밖에 더 될까요
공부 열심히 했으니까 서울대 보내 달라고 떼쓰는 거나 다름 없죠

애초에 공부에 재능이 없었다면 지적인 능력이 중요한 노동시장에서는 발을 빼는 게 맞습니다
차별이고 역차별이고 말할 것도 없어요 기업들이 자선사업하는 것도 아니고
심지어 공적인 영역에서도 직무에 필요한 역량이 부족한 사람을 채용하면 여러 사람이 피해를 봅니다

럭키포인트 2,622 개이득

뚜껑 2020.03.17 01:49  
[@수달이] 공부도 어찌보면 재능의 영역이라 어쩔수가 없는.. ㅋㅋ

럭키포인트 8,329 개이득

맥짱 2020.03.17 10:58  
[@수달이] 어딜가나 재능충들이 있짜나...

럭키포인트 6,657 개이득

먼지제거스프레이 2020.03.17 23:45  
[@수달이] 어딜가나 재능충, 아웃라이어는 있지만 보편적으로는 노력해서 얻어낸게 많으니까..
좋은 학교에 다닌다고 해서 모두가 다 천재같고, 한번보면 다 외우고, 이해하는 그런건 아님..

럭키포인트 44,811 개이득

삽사리 2020.03.16 23:34  
그건 뽑을때 이야기고  뽑고 나서는 일잘하면 학벌에 관계없이 승진시키고 돈 많이 줘야하는데  그럴때는 고졸이라고 돈 덜주고 승진 누락시키는건 문제잖아?

럭키포인트 8,137 개이득

원딜의카이팅 2020.03.17 00:12  
[@삽사리] 같은 조건으로 들어온게 아니겠지
대졸 전형하고 고졸 전형이 다르니
연봉 승진 연한이 당연히 다른거고
고졸대졸 처럼 나뉘어진 전형이 아닌대
대놓고 차별하는 회사가 있음?
그런데는 가 족같은 중소기업이 아니면 없을 거 같은데

럭키포인트 5,220 개이득

채볶어 2020.03.17 01:49  
[@삽사리] 그게 문제인 거지 얘가 지금 잘한다했을때 어떤이유로 고등학교때 안했냐? 그건 모르거든 지금 잘한다고 돈주고 진급시켰는데 알고보니 2~3년 흥미주다가 냅다 버려두는 사람인지 평생 노력하는애인지 고졸 대졸로 봤을때 대졸이 더 긴시간 노력한 사람이 맞다는게 윗사람들 평가임

럭키포인트 5,593 개이득

opggvtuccw 2020.03.16 23:36  
애초에 동일한 출발선도 아닌걸

럭키포인트 4,354 개이득

여름 2020.03.18 18:21  
[@opggvtuccw] 이게 정답
저런식으로 따질거면 애초에 태어날때부터 불공평하므로 불공평한거자체를 논할 필요는 없어짐
공부에 대한 재능도 타고나는거고 환경도 타고나는거고
어떤 선생, 은사님을 만나느냐에따라도 달라짐
결론은 저 말은 별로 공감가지 않는다!

럭키포인트 37,380 개이득

스팸마요덮밥 2020.03.16 23:41  
출발선이 다른건 사실이지않나 개천에서 용나는것도 맞긴한데 그건 말그대로 개천에서 용날확률인거지 다른출발선에서 같은 역량을 투입했을때 같은결과가나올까? 물론 노력한번안해본사람들이 하는 푸념은 들을가치도없고

럭키포인트 2,449 개이득

너굴너굴맨 2020.03.17 00:10  
출발선이 같을 순 없지 근데 본인 노력에 따라서 대학시절 내 어느정도 따라갈 수 있고 직장생활 하면서 바뀔수 있다고 생각함 대신 진짜 피나는 노력이 필요함

럭키포인트 3,892 개이득

삼미자 2020.03.17 01:50  
[@너굴너굴맨] 맞지요
기욤패트리 2020.03.17 00:39  
뭔가를 선택할 때 사람들은 생각보다 권위에 많이 의존함.
연예인이 좋다는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고 유명한 명품 브랜드를 선택하기도 함.
권위에 의존하여 선택하는게 항상 옳은건 당연히 아닌데 그렇다고 내가 직접 하나하나 장단점 구별해가면서 선택하기엔 들여야 하는 비용이 큼(시간 포함)
이건 당연히 회사에서 직원을 채용할때도 마찬가지인데 이것저것 하면서 사람을 뽑기엔 너무 비용이 크니까 평범한 직장의 경우 학벌로 걸러내는거임.

럭키포인트 4,284 개이득

시인과춘장 2020.03.17 00:55  
주변의 개개인을 보면 아닌말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타인의 입장으로 생각하고

내가 사장인데

명문대 나온애 뽑을까, 주변 산골짜기에 있는 지잡대 나온애 뽑을까

학력은 기본적으로 학창시절의 성실성 노력 등의 객관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절대적으로 맞지는 않더라도..

럭키포인트 4,567 개이득

김락커 2020.03.17 01:07  
ㅆㅇㅈ이지 어릴때 놀았으면 더 피터지게 살아야지ㅋㅋ 동일한 대우 받으려는건 좀.. 다만 동일 업무에서 더 능력있는데 학벌때문에 차별받는건 사용자측이 ㅄ이라고 생각함

럭키포인트 9,331 개이득

Gyuu 2020.03.17 01:09  
저건 맞는말 ㅇㅈ 하지만 태어날때부터 출발점이 다르다는 것도 인정해야지

럭키포인트 898 개이득

맨날술퍼 2020.03.17 01:16  
배우고 가진사람이 인성이 거지였으면 정말 좋겠지만 실상은 그 반대가 더 많아서...

럭키포인트 9,942 개이득

채볶어 2020.03.17 01:53  
양심에 손을 얹고 말해보자 난 그당시 대학잘간 애들보다 더놀고 더 공부 안함 더열심히 했고 잘했는데 수능만 죽쑨 애들은 그다음해던가  다른일을 하던가 더 잘했을거임

럭키포인트 2,114 개이득

kwail 2020.03.17 02:30  
살면서 느낌..
대학이 무조건 맞은 평가의 척도는 아니지만
높은 확률로 더 좋은 대학 출신이 더 좋은 인재가 많음
고용하는 입장에선 모험을 굳이 할 이유가 없음
근방 그만두고 다시 가르치는 거 자체가 비용이라서

럭키포인트 9,638 개이득

찐판결기 2020.03.17 02:59  
지랄. 대학은 고등교육기관인거고 학벌의 혜택은 그저 좋은 학교를 다닐 수 있는걸로 한정지어야지 왜 성공이니 출세니 하는걸 요구하냐? 도둑놈 심보 보소.

럭키포인트 5,283 개이득

짬밥취사병 2020.03.17 04:05  
지방대학다니는 8학군 출신인데 처음 차별이 없는게 역차별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음
처음 대치동 갔을때 애들이 정말열심이 하는거에 충격 먹음 지방이랑은 느낌 자체가 틀림
지방에는 10프로 정도가 공부한다면
대치동은 10프로 정도가 놀생각을 함
그만큼 애들이 노력을 많이함
물론 지방을 까는건 아니지만 내가본 고등학교 중학교 는 그랬음
근데 저말에는 한가지 모순이있음
정말명문대 다니는 사람은 노력을 그만큼 많이했인정할껀 해야함
하지만 정말 노력을 했지만 가지 못한 사람을 무시하는 결과값이있음 그래서 저말은 모순도 같이 가지고있는 말이 됨

럭키포인트 7,251 개이득

김김김김 2020.03.17 09:27  
[@짬밥취사병] 저는 돈때문에 지방대라 .. ㅜㅜ

럭키포인트 8,763 개이득

시펄 2020.03.17 05:48  
수능세대로서 인정함. 내가 놀고 잘때 명문대간 친구들은 피나게 노력함.
모두 노력한다고 명문대가는건 아니지만 명문대간 친구들중에 노력안한 친구들은 없지.
다만 요즘같이 수시세대들은 수저가 영향을 많이 받더라.

럭키포인트 7,210 개이득

나누기 2020.03.17 08:22  
좋은 학벌의 척도가 되어야지 성공의 척도가 될수는 없다

럭키포인트 4,593 개이득

나는빡빡이다 2020.03.17 09:13  
근데 저새끼때메 배달 수수료 처오른거 생각하면 별로임

럭키포인트 5,197 개이득

케찹머겅 2020.03.17 09:57  
근데 고등학교때까지의 노력으로 인생이 결정되니까 그런 소리가 나오는거지...

그 뒤로는 아무리 노력해도 그 차이를 줄이기 힘드니까

럭키포인트 8,823 개이득

네온 2020.03.17 10:15  
[@케찹머겅] 힘든게 아니라 대다수는 평생 못줄임.. 격차를 줄이고 따라잡는 사람은 극소수

럭키포인트 8,989 개이득

요괴소년호야 2020.03.17 10:39  
저런말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맙시다

럭키포인트 8,728 개이득

개집욍 2020.03.17 17:40  
좋은 말이야. 근데 배민 왜 팔았냐. 팔거면 국내업체에 팔지. 지금 배민 요기요 배달통 다 독점기업이라 배달수수료 인상을 막을 수가 없다

럭키포인트 20,951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