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미스터리 > 미스터리
미스터리

서울대교수의 인공지능 예측

에그몽 15 5498 18 0

Screenshot_20211022-175233.jpg 서울대교수의 인공지능 예측
인공지능의 수준을 6단계로 나눈다면


레벨1은 고전AI로 사람의 지식을 규칙기반으로
넣어서 기계가 사람처럼 행동하는 
전문가 시스템이다.



이 방식의 인공지능은 
이미 넘어섰다고 평가한다.



Screenshot_20211022-181531.jpg 서울대교수의 인공지능 예측
레벨2는 딥러닝을 통해 다수의 데이터를 
인간이 입력해 컴퓨팅파워를 이용하면 
gpt-3같은 모델로 자동으로 최적화된다.

하지만 데이터를 스스로 모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Screenshot_20211022-181544.jpg 서울대교수의 인공지능 예측
레벨3는 레벨2의 단점을 보완해 스스로 데이터를 만들고 확보해 self-teaching 하는 
시스템이다.


Screenshot_20211022-181558.jpg 서울대교수의 인공지능 예측
레벨4는 시스템이 스스로 자신이 한 것에 대해 
평가를 하고 자기반성을 하며 더 좋은 방향으 
수정하는 시스템이다.

이 단계가 되면 궁극적으로 인간수준의 인공지능에 도달할수있을것이다.


Screenshot_20211022-181613.jpg 서울대교수의 인공지능 예측
레벨5는 레벨4의 인공지능이 인간수준의 인공지능에 도달하는것으로 이 레벨5에서는 다음단계로의 인공지능은 빠르게 도달할것이다.

그 이유는 이미 기계가 이 수준에서는 인간보다 잘하는게 많으며 용량도 무지막지하게 크며
더 정확하다. 

그리고 자신이 학습한것을 정확히 복제해서 넘겨주는게 가능하므로 다음단계인 레벨6로의 목표에 빠르게 도달할것이다

Screenshot_20211022-181629.jpg 서울대교수의 인공지능 예측
레벨6:초인공지능
 

장병탁 교수의 인공지능 예측
Screenshot_20211022-181253.jpg 서울대교수의 인공지능 예측
 
2030년까지 인간수준의 인공지능 도달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인간수준 인공지능이 안된다고 하는 
밑에 직원들보다 교수님들이나 고위직에 있는 분들이 더 긍정적인 예측을 하는게 특이점라고 하면 특이점...

Best Comment

BEST 1 Helldiver  
원래 지식수준이 중간 수준인 사람들은 세상이 부정적으로 보이고 지식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지식을 이용해서 세상에서 이득을 얻을 걸 생각해서 세상이 밝게 보인다던데
15 Comments
Helldiver 2021.10.24 18:53  
원래 지식수준이 중간 수준인 사람들은 세상이 부정적으로 보이고 지식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지식을 이용해서 세상에서 이득을 얻을 걸 생각해서 세상이 밝게 보인다던데

럭키포인트 17,494 개이득

엘리아 2021.10.24 23:30  
[@Helldiver]

럭키포인트 15,618 개이득

케찹머겅 2021.10.25 08:06  
[@Helldiver] 아우 눈부셔 시방

럭키포인트 10,873 개이득

이럴수가여 2021.10.29 07:27  
[@Helldiver] 찾아보면 현직에 있는 교수들도 긍정적 부정적 전망이 갈리는데 지식수준과는 별개사항 아닌가요
노예2호 2021.10.24 22:59  
2030년이면 스카이넷이 탄생하는거군

럭키포인트 5,947 개이득

신크말치 2021.10.24 23:03  
많은 영화와 소설들처럼 인간은 모순덩어리고 인간을 보호하려면 인간을 통제하고 조절하는게 인공지능 입장에서 볼때 옳다는 판단을 할거 같아서 아무래도 불안한거 같음 ㅋㅋ 인공지능이 모순덩어리인 감정까지 이해할 수 있을까

럭키포인트 20,569 개이득

케이틀린 2021.10.26 16:30  
[@신크말치] 인간의 모순과 감정마저 학습하면 이것까지 고려한 완벽한 인간 통제가 이루어질듯..
빅브라더의 주체가 인간이 아닌 AI가 될지도 모르겠네요

럭키포인트 15,959 개이득

신크말치 2021.10.26 20:58  
[@케이틀린] 이건 좀 정치성향이나 개인적 철학 차이겠지만 인간의 감정과 그 모순까지 이해하고 인간을 제거하는게 아니라 적절히 통제한다면 그게 플라톤이 말한 철인왕이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ㅋㅋㅋ 전 멋진신세계도 읽고 이건 디스토피아가 아니라 유토피아라고 생각했거든요 ㅋㅋㅋ
케이틀린 2021.10.27 09:40  
[@신크말치] 오 히 려 좋 아
엘리아 2021.10.24 23:31  
10년 밖에 안 남았네 매트릭스까지 ㄷㄷ
낫띵이즈트루 2021.10.24 23:44  
오래오래 살아서 세상이 어떻게 되나 보고싶다
게임도 존나 재밌어지겠지?

럭키포인트 7,720 개이득

논증기하학 2021.10.25 03:55  
인공지능이 발전하면
드디어 레닌이 꿈꾸던
사회주의 유토피아가 도래하겠네요 ㅋㅋㅋ

럭키포인트 28,826 개이득

노빠꾸인생 2021.10.25 12:02  
한국인들이 똑똑하다니깐?
저거 다 예측하고 애 안낳는거 아니야 솔직히 우리 다음 세대는 소비만 해결하면 생산을 위한 인구는 필요없음

럭키포인트 26,003 개이득

멍멍왕 2021.10.25 13:57  
지금도 AI가 코딩하는시대인데 빨리될거같음..

럭키포인트 1,948 개이득

레트랑제 2021.10.25 22:27  
고위직이 더 그런 예측을 하는 이유가 어쩌면 더 실무에서 멀어져서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음
본문에서 말한 gpt3도 지금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는 모델이 등장했지만,
너무 많은 데이터를 학습해서 안좋은 데이터(음모론 등)도 함께 학습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데이터를 많이 학습시키면 더 잘할거다라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안좋은 데이터가 섞이니까 또 그게 아니라는거

이런 문제들에 부딪히면서 막상 실무자들은 은근 한계가 있고 어렵다 라고 생각하는데/
고위직은 그런 것에 부딪힐 일이 적으니 더 이상적으로 평가하는게 아닐지...

럭키포인트 17,787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