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미스터리 > 미스터리
미스터리

요즘 세계사 교과서에서 안 쓰는 용어

지수 7 5269 11 0

 

7 Comments
장기하 2019.12.31 01:50  
수능세계사 마지막으로 본게 2년 정도 됐는데 황허로 알고있던거 같은데

럭키포인트 9,975 개이득

메르카토르 2019.12.31 01:51  
사실상 학계는 20년 전부터 only 황하문명은 개소리인걸 알고있었음

럭키포인트 7,522 개이득

김세정 2019.12.31 08:37  
4대 문명중에 중국이랑 인도는 인구가 조오오오온나 많은데 이집트랑 메소포타미아는 왜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음?

럭키포인트 5,589 개이득

나두멀러 2019.12.31 09:21  
[@김세정] 주식이 쌀이냐 밀이냐에 차이임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밀보다 쌀이 압도적으로 많고 기후만 맞으면 1년에 몇번이라도 수확가능함
과거에는 잉여식량이 많이 나올수록 부양인구를 크게 늘릴수 있는 가장 큰 요소임

럭키포인트 169 개이득

망돌 2019.12.31 16:46  
[@나두멀러] 그거랑은 별 상관이 없을수 있음. 현재의 인구가 많은거 하고 당시의 인구가 많은건 알수가 없음. 중국은 그나마 황하쪽이 현재의 한족과 관련이 있는건 알고있는데 장강은... 글쎄이고(전국시대즈음에는 그쪽은 아예 이민족취급하는데 인종적으로는 관련이 없을수 있음) 인도문명의 원주인으로 추정되는 드라비다족은 인도대륙주류계에서 벗어남.

거기다 현재 메소포타미아지역과 이집트 지역의 기후나 토양 그로 인한 작물생산량이 과거와는 전혀 딴판이라서 인구비교가 불가능함. 또한 이집트지역과 메소포타미아지역은 흑사병과 전쟁으로 인한 대대적인 인구감소가 근대까지 몇번이나 일어났음. 그리고 단위면적당 생산량도 50%정도만 쌀이 뛰어나지만 함유영양소의 균형이 밀에 비해서 떨어지는 면이 있어서 비교가 쉽지 않음.

오히려 작물의 선택보다 지형자체의 비교가 더 맞는거 같음.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는 인구압으로 인해 확장을 해야할때 바로 인근지역이 그걸 할만한 곳이 아니라는 것임. 강주변 벗어나면 싸그리 사막지역이라 강유역을 벗어나 인구확장이 힘듬. 황하장강지역처럼 강이 없어도 비가 꾸준하게 내리지도 않고 인더스처럼 주기적으로 내리지고 않음. 둘다 강의 수원에만 의지하는 곳이라는 거임.

럭키포인트 1,940 개이득

망돌 2019.12.31 16:50  
[@망돌] 추가로 인도는 남부만 쌀을 주로 먹고 인더스유역쪽 사람들은 밀로 빵만들어 먹음. 주식이 쌀이라 인구가 많다고 단순히 말할수 없는 이유.
힐노예 2019.12.31 09:45  
근데 고대에 양쯔강보단 황하가 더 가치가 높지않았나 수도가 다 황하 부근이라 그렇게 느끼는건가

럭키포인트 8,202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