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미스터리 > 미스터리
미스터리

일본의 신

펩시ZERO 9 4397 11 2

  일본의 신들 :: 일본 신화의 창조  



안녕하세요! 동양북스 서포터즈 1기 김진아입니다. 일본에는 아주 많은 신이 있다는 걸 아시나요?
일본에 가시면 신사를 곳곳에서 볼 수 있는데요, 이처럼 신사가 많은 이유는 일본인들이 모시는 신이 많기 때문입니다!
저는 흥미로운 신화를 굉장히 좋아하는데, 일본에도 그리스 신화 못지않은 신들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일본에는 신이 너무나 많기에 전부 다룰 수 없지만 몇몇 신들과 그들의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




1. 일본신화의 창조 -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 좌 : 이자나미 /  우 : 이자나기


① 이자나기(イザナギ)

일본 신화의 창조신이자 하늘의 신이며, 일본 천황가의 황조신(皇祖神)입니다.
이자나미의 쌍둥이 남매이자 누나인 여신 이자나미와 결혼하여 바다뿐이었던 일본에 아와지 섬(淡路島), 혼슈(本州), 시코쿠(四國),

규슈(九州) 등의 섬을 만들어 지금의 지형을 만들었으며 돌, 나무, 바다, 물, 바람, 산 등 자연신들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고사기>에서는 이름이 伊邪那岐命, <일본서기>에서는 伊弉諾神라 표기되어있으며, 고사기에 따르면 이자나기는 모든 일본 신들의 시조에 해당합니다.


 

② 이자나미(イザナミ)
 
이자나기와 함께 일본을 만든 여신으로, 땅의 신이자 창조와 죽음의 신이기도 합니다.
이자나기의 누이이자 아내로서 일본을 낳았다고 전해지기에 두 신을 묶어서 창조신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자나미는 불의 신인 가쿠즈치(軻遇突智, 迦具土神)를 낳다가 음부가 불에 데어 죽게 됩니다.


이자나미가 불의 신 가쿠즈치(軻遇突智)를 낳다가 음부가 불에 데어 죽자 이자나기는 "한갓 이 아이 때문에 배우자를 잃었다"며 가쿠즈치를 칼로 베어버렸습니다.

그러자 가쿠즈치의 피와 사체에서 8개의 화산의 신이 태어납니다. 이 에피소드는 화산이 폭발했을 때의 장면이 이미지화된 것이라고도 합니다.

이후 이자나기는 이자나미를 지하 세계에서 구출하고자 내려갔지만, 이자나미는 이미 저승의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돌아갈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자나기 "아, 나의 사랑스러운 아내여, 나와 당신이 만들려고 했던 나라는 아직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제발 내 곁으로 돌아와 주세요"

이자나미 "불행히도 이미 늦었습니다. 당신이 빨리 오시지 않았기에, 나는 저승의 음식에 입을 대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당신 곁으로 돌아갈 수는 없습니다."




 이자나기의 설득 끝에, 이자나미는 저승의 신과 상의를 할 테니 시간을 달라며 "그동안 내 모습을 보면 안 된다"라고 경고합니다.
하지만 이자나기는 이를 어기고 아내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이자나미의 몸은 부패해 진물이 나며 구더기가 끓고 있었고, 이자나기는 두려움에 떨며 도망칩니다.

약속을 어긴 이자나기에게 분노한 이자나미는 귀신을 거느리며 그를 쫓았지만 잡는 데 실패합니다.

 이자나기가 황천국과 이 세상의 경계에 커다란 바위를 놓아 왕래할 수 없도록 하고, 바위를 사이에 둔 채, 서로 마주 보며 부부의 연을 끊는 말을 주고받았습니다.

 


이자나미 "사랑하는 나의 남편이시여, 당신이 정 이렇게 나오신다면, 당신이 사는 나라의 인간을 하루에 천 명씩 교살해 버리겠습니다."
이자나기  "사랑하는 나의 아내여, 당신이 그런 짓을 한다면, 나는 하루에 천오백 개의 산실을 짓겠소."




 
 이런 연유로 이 세상에서는 하루에 반드시 천 명이 죽고, 천오백 명이 태어났다고 합니다.

이 설화가 있어 이자나미를 창조와 죽음을 담당하는 신으로 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02. 삼귀자(三貴子) - 아마테라스 / 츠쿠요미 /스사노오
 


ⓒ Rikizo27.com


이자나미를 두고 온 이자나기는 황천 세상에서 본 부정적인 것들을 털어버리고자 물로 몸을 씻습니다.
 깨끗하게 몸을 씻자 그의 왼쪽 눈에서 '아마테라스'가, 오른쪽 눈에서는 '츠쿠요미', 마지막으로 코에서는 '스사노오'가 탄생합니다.

 이 세 신은 다른 신보다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 신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여 <삼귀자(三貴子)>라고 불립니다.



① 아마테라스(天照)

  



하늘을 비추는(天:하늘 천, 照:비출 조)이름 뜻대로 아마테라스는 태양의 신이자, 황실의 조상신의 일종으로 숭배되어 굉장히 중요하게 여겨지는 신입니다.
일본에서 가장 큰 신사이자 유명한 이세신궁에서 아마테라스 여신을 모시고 있으며,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御)'라고도 불립니다.
국가의 최고신으로서 조정의 엄숙한 제사를 받으며, 일본의 8백만 신을 지배하는 여신으로 숭앙받고 있습니다.



 
② 츠쿠요미(月読)

 

ⓒ kamunagara.com 



츠쿠요미는 밤의 신이자 달의 신으로, '츠쿠요미 노미코토(月読命)'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츠쿠요미는 태양의 신 아마테라스와 얽힌 이야기가 있습니다.

츠쿠요미는 아마테라스로부터 우케모치 신(保食神, 오곡-五穀-을 관장하는 음식의 신)을 만나라고 명받아 그를 만나러 내려갑니다.
우케모치는 츠쿠요미를 환영하고자 입에서 여러 음식을 쏟아내는데, 이를 본 츠쿠요미가 더럽다며 화를 내고는 그대로 우케모치를 죽입니다.
이 때, 우케모치의 시체에서 음식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이마'에서는 '소와 말'이 나고 '머리'에는 '조'가, '눈썹' 위에는 '누에'가,

눈에서는 '뉘(秕), '배' 위에는 '벼', '음부'에는 '보리'와 '콩, 팥'이 나와 곡물의 기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나중에 이를 일게 된 아마테라스가 분노하여 츠쿠요미를 만나지 않는다고 했기에 해와 달이 나뉘었고, 낮과 밤의 구분이 생겼다고 합니다.

 



③ 스사노오(素戔嗚)

 



바다와 폭풍을 다스리는 신으로 '스사노오 노미코토(須佐之男命)'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야마타노오로치(8개의 머리를 가진 뱀 모양의 괴물)를 퇴치한 것으로 유명하며, 성격이 매우 난폭하면서도 아이 같은 면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자나기가 세 귀공자의 탄생을 기뻐하며 3남매에게 관할 구역을 정해주는데요.
'아마테라스'는 천상계인 다카마가하라를, '츠쿠요미'에게는 밤의 세계를, '스사노오'에게는 바다를 다스리라는 명을 내립니다.

하지만 스사노오는 어머니인 이자나미를 그리워하며 계속 눈물만 흘리고 있었습니다.
바다를 다스리지 않고 울기만 하는 스사노오에게 화가 난 이자나기는 이자나미가 있는 황천으로 가도 좋다고 말했습니다.
그 말에 기뻐한 스사노오는 황천으로 떠나기 전, 누나인 아마테라스에게 작별을 고하려고 다카마가하라에 올라갔습니다.
 하지만 스사노오는 난폭한 신으로 알려져 아마테라스는 동생이 다카마가하라를 빼앗으러 온 것이 아닌가 의심하여 무장한 채로 그를 맞았습니다.

스사노오는 자신의 결백을 맹세하며 '서약'이라는 의식을 행했습니다.

이후 아마테라스는 스사노오를 다카마가하라에 들여보냈지만, 스사노오는 누나의 시녀를 죽이는 등 난폭한 행동을 일삼았습니다.
분노한 아마테라스는 아마노이와토(天岩戸, 하늘의 바위굴)동굴로 들어가 숨어버렸고 세상은 칠흑 같은 어둠에 싸이게 됩니다.


 


03. 아마노이와토(天岩戸) 사건의 경위


아마테라스가 아마노이와토로 숨어버려 태양이 사라지자 생물이 자라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신 아마테라스를 동굴에서 빼내고자 다른 신들이 모여서 방법을 의논합니다.

 

① 아메노우즈메노미코토

 


 ⓒ sekainoura.net


아메노우즈메는 예술의 여신으로 하늘의 바위굴 동굴로 숨은 아마테라스를 동굴에서 불러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들이 회의를 통해 동굴 앞에서 잔치를 벌여 아마테라스를 꺼내기로 했습니다.
그 중심에서 아마노우즈메가 춤을 추면서 자기 옷을 찢어버리고, 이 모습을 본 다른 신들이 깔깔 웃으면서 잔치를 벌입니다.



 
▲ 아메노우즈메가 동굴 앞에서 춤을 추자 바깥을 엿보는 아마테라스 / ⓒ yuume.net


 

 


아마테라스 "이 내가 없는데 왜 모두 웃고 있는 거지?"

아메노우즈메 "당신보다 멋진 신이 오셨기 때문이에요."





 위와 같은 대화를 나눈 후, 아마테라스가 바깥이 신경 쓰여 살짝 얼굴을 내밀었을 때 아메노우즈메는 거울을 보였습니다.




② 타지카라오노미코토

 

▲ 힘의 신 타지카라오노미코토 / ⓒ nihonspirit.com



그 거울에 비추는 자신의 빛나는 모습을 아마테라스가 보고 있는 사이,

힘이 신인 타지카라오노 미코토가  달려들어 아마타레스를 바깥으로 끌어냄으로써 세계에 햇빛이 돌아왔다고 합니다.
이때, 아마노우즈메가 춘 춤이 가구라(神樂)의 원형이라고 전해지며 이러한 일화와 연관해서

아마노우즈메는 어둠에서 빛을 되돌리기 위한 힘의 각성, 기폭제의 상징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사단이 일어난 후 스사노오는 사건의 책임을 지게 되어 머리카락과 손톱을 잘리고 다카마가하라(천상계)에서 추방되었습니다.




4. 현대 일본 콘텐츠에 나타나는 일본 신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은 그 연관성을 유지하며 현대 일본 영화나 만화, 소설 등의 소재로 쓰이기도 합니다.
포스팅에서는 일본 만화 <나루토> 에서 삼귀자(아마테라스, 츠쿠요미, 스사노오)와

이자나기, 이자나미가 이타치라는 만화 속 인물의 '기술' 이름으로 사용된 것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만화에 그려진 <스사노오>의 모습


신화 내용과 마찬가지로 이타치의 왼쪽 눈으로는 '아마테라스'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오른쪽 눈으로는 '츠쿠요미'를 쓸 수 있습니다.
특히 만화의 앞부분에 나온 두 기술과는 달리 '스사노오'는 비장의 기술로서 제일 마지막에 나왔는데,

이 신화를 알고 있는 일본 사람들은 이타치의 마지막 기술이 '스사노오'일 것이라는 걸 많이들 예상하더군요.
하지만 저는 당시 일본 신화에 대해 몰랐기에 전혀 예측하지 못했던 기억이 나네요^^;;

또한, 이타치는 '스사노오' 기술을 이용하여 작중에서 뱀을 상징하는 인물을 죽이는데요.

이 부분도 신화에서 스사노오가 야마타노오로치를 죽이는 내용을 따라간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9 Comments
구영탄 2021.12.10 23:02  
우치하 생각했지?

럭키포인트 13,518 개이득

듀로탄 2021.12.10 23:20  
우리나라의 신도 해주세요

럭키포인트 22,471 개이득

fdshow6 2021.12.11 01:36  
아마테라스!

럭키포인트 25,238 개이득

킹갓우석대 2021.12.11 14:40  
사스케의 만화경사륜안 능력은 아마테라스와 아마테라스를 조종하는 가쿠즈치

럭키포인트 28,651 개이득

질퍽 2021.12.11 15:30  
[@킹갓우석대] 오 그래서 사스케를 마지막으로 우치하가 다 죽은거야?

럭키포인트 5,542 개이득

킹갓우석대 2021.12.11 15:39  
[@질퍽] ㄴㄴ 사스케 딸 있어요
질퍽 2021.12.11 15:46  
[@킹갓우석대] 보루토는 같은 세계관으로 안쳐줌ㅋㅋ시발..
킹갓우석대 2021.12.11 17:08  
[@질퍽] 그럴줄알고 원작 마지막에 등장 시켜 놨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