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미스터리 > 미스터리
미스터리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주성치 1 799 1 0
미국 근대건축 시리즈 마지막 편이야

이번 글에서는 '아르데코' 양식을 알아보고 

나아가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는 초고층빌딩, 즉 마천루에 대해 알아볼게


때는 1920년대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파리는 새로운 시대와 자유를 추구하는 세계의 무대였어

1925년에는 

'새로운 발상과 순수한 독창성' 이란 주제로 

파리 장식미술 만국박람회가 개최해

11.jp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12.jp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이 박람회에서 디자인된 전시관과 전시품들은 1920년대 유행했던 것들이었어

예전에 유행했던 아르누보 양식과 대비되는 것이 특징이야

아르누보 양식이 자연에서 모티브를 얻어 디자인에 적용하였는데 반해

아르데코 양식은 기하학적이고 직선적이야

게다가 색채 또한 자연보다는 좀더 강렬한 색을 사용했어

백문이불여일견. 아르데코 양식으로 디자인된 것들을 살펴볼게

10.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가구를 보자

오른쪽의 의자가 아르누보 양식이야. 곡선적이지?

왼쪽의 의자는 아르데코 양식이야. 직선적이고 기하학적임

오늘날 내놓아도 현대적이라는 평가를 받기 충분하지

14.jp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태양, 무지개 같은 자연현상을 기하학적으로 많이 표현했어

6.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포스터 디자인이 특히 발전하는데, 

직선적이고, 구성적이라는 게 돋보이네

당시까지만 해도 상당히 회화적이었던 포스터가

오늘날과 같이 단순하고 짜임새 있는 구조를 가진 그림이 되었어

7.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8.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색채 또한 과감했지

4.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5.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게다가 서체 디자인도 큰 발전을 거듭해

기하학적이고, 유선형의 서체는 아르데코 양식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게 해줘

13.jp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프랑스에서 크게 유행했던 유럽의 아르데코는 곧 미국으로 건너가

당시 미국의 뉴욕에서는 건물이 소비문화의 표시로 간주되었어

전편의 시카고의 건물들처럼, 땅값이 높은 곳에서 높은 건물을 지으려고 노력했었잖아

이제 뉴욕에서 그러한 경향이 더 짙어지고 아르데코 양식과 맞물리면서 

건물을 하나의 상징으로써 디자인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

그러면서 고층건물에 다양한 장식을 통해 높이를 부각시키고 입면디자인을 표현했어


그 중심에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14.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과

크라이슬러 빌딩이 있어

크라이슬러 빌딩은 1929년에 지어졌어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은 1932년에 지어짐

둘 모두 아르데코 양식으로 지어졌지만 디자인적으로 차이가 커


그런데 1929년은 인류 역사에서 꽤 중요한 시기야

바로 미국 대공황이 불어닥친 때거든

19.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그런데 어떻게 이 경제불황 속에서 초고층 빌딩이 지어질 수 있었을까

"어떤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을 짓겠다며 첫 삽을 뜨면 최대한 빨리 그 나라 주식시장에서 빠져 나와라 "
(존 캐스티, 대중의 직관)

일명 '마천루의 저주' 라는 경제학 개념이야

경제 위기로 인해 정부가 통화정책으로 돈줄을 풀게 되는데

딱 그 시기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마천루가 건설을 시작하고

마침내 완공되는 시점에 버블이 꺼지게 된다는 논리야

또 다른 측면에서는 초고층빌딩이 지어지는 이유는 땅값이 정점을 찍었을 때니까

바로 그 시기가 버블이 꺼지기 직전이라는 말도 있어

크게 지으면 무조건 이득이 될 거 같은데 막상 아니라는 거지

palmolive building.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파르모리브 빌딩

rca building.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RCA 빌딩

rockefeller building.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록펠러 빌딩

time life building.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타임 라이프 빌딩

이와 같은 빌딩들이 모두 그 시기에 지어졌어


자, 그럼 시대적 상황은 이렇게 마무리짓기로 하고

아르데코 건축을 상징하는 두 건물에 대해 알아볼게

1.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먼저 1930년에 지어진 <크라이슬러 빌딩> 이야

높이 319m 로 2년뒤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이 지어지기 전까지 세계에서 제일 높은 건물이었어

꼭대기에는 '왕관' 처럼 첨탑이 올라가있어

첨탑을 씌우는 특징은 이후 초고층빌딩의 공식처럼 됨

크라이3.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특히 스테인리스의 작은 예각 창들이 중첩되어 반복됨

이러한 예각성은 계속 반복되어 건물의 날렵함을 강조했어

날렵함, 속도감이 느껴지는 이 건물의 디자인은

크라이슬러 자동차를 상징하도록 만들어주었어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을 표현하는 스테인리스재료도 특징이야

16.JP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17.jp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내부 로비공간 또한 아르데코 양식이 짙어

화려한 장식을 가감없이 사용하였고

대칭적인 구성, 화려한 색감, 기하학적 장식들, 금속 같은 재료를 인테리어 재료로 사용했어

실내를 처음으로 들어오는 방문자에게

건물의 강렬한 이미지를 심어주려는 전략이었지


크라이슬러1.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스테인리스 장식이 ㅎㄷㄷ하다


크라이슬러2.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어벤져스 1에도 등장했지

그땐 몰랐는데 지금 보면 

영화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상당히 유사한 게 있어

바로 속도야

속도를 상징하는 건축물 주변으로 매우 빠른 액션이 진행되는 거지

상상해봐. 저 크라이슬러 건물이 아니라 그냥 박스 건물이 서있었다면 

영화의 분위기를 더 끌어올리기 어려웠을 거니까

엠파이어2.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뉴욕을 상징하는 건축물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이야

영화 킹콩에 등장하여 모두들 알고 있겠지

크라이슬러 빌딩과 달리 매우 직선적이야

킹콩의 육중한 이미지와 어울려

3.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을 짓고 있는 모습이야

안전장치 하나 없이....

뒤에 크라이슬러 빌딩이 내려다보이는게 꽤 인상적임

이 건물이 지어지면서 세계최고 높이가 경신돼

높이 381m

엠파이어1.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417m 의 세계무역센터가 붕괴되고 나서 

다시 뉴욕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돼

쓰러져가는 세계무역센터와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이 함께 서있는 모습이 꽤 슬퍼보여 ㅠ



이 건물은 불과 19개월만에 지어지는데.. ㅎㄷㄷ

대공황이 불어닥쳐

오히려 철골값과 노동임금이 뚝 떨여저서 그런 것 같아

그러나 완공되엇을 때

대공황으로 인해 공실률이 엄청났어

별명이 empty state building 이었지

엠파이어3.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1945년에 안개로 인해 폭격기 한대가 충돌해

조종사의 마지막 교신은

" 이상하다. 이 근방 어디쯤인가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보여야 할텐데... " 였다고 

충격적인 재난이었는데도 사망자 14명.

인명피해가 적었던 이유가 공실률 때문이었어

2차대전 이후 1950년이 되어서야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햇다고 해




두건물.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미국 뉴욕을 상징하는 두 건물

20세기 전반, 뉴욕의 산업 전반에 걸친 경제 집중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저 두 건물은 여전히 미국을 상징하며 서 있어

초고층....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우리나라에도 최근에 롯데타워가 지어졌고...

곧 잇으면 571m 의 초고층 빌딩이 지어져

언제까지 초고층 빌딩의 유행이 지속될지는 아직 모르겠네



--

미국 편을 드디어 끝냄

쉽게 쓰려고 햇는데 하다보니 공부하는 것도 많아졋어 ㅠ

덕분에 내용이 더 풍부해진 거 같아 만족스럽다

다음 편은 

<독일 공작연맹> 이야

비스마르크.PNG [근대 건축] #6. 미국의 근대 건축(3) - 마천루의 시대
 
역사적으로 유럽 국가들은 독일의 통일을 두려워하고 항상 견제해왔어

그런데 1871년

결국 통일이 되어버린 프로이센 제국!

어떻게 독일이 세계 최고의 공업국가로 성장했을까

또 건축에 있어서 어떤 변화를 가져왔을까

다음편 기대해주고 그럼 ㅃㅇ

1 Comments
NationalTaxServ… 2018.05.01 10:12  
ㅃㅇ~

럭키포인트 259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