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미스터리 > 미스터리
미스터리

펌) 식물에 관련된 잡지식들을 더욱더.araboja

불량우유 5 3648 11 0

1. ‘쪽빛’의 ‘쪽’은 식물 이름이다.

 

‘쪽빛 하늘’, ‘쪽빛 바다’와 같이 ‘쪽빛’은 아주 파란 모습을 칭할 때 사용한다.

‘쪽빛’의 ‘쪽’은 마디풀목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며 파란색 천연 염료를 만드는 식물이다.

쪽잎에 인디칸이라는 물질이 있어 이를 발효하면 푸른 색소 인디고가 생성된다.

쪽색은 남색이라 하며, 쪽으로 염색한 천은 하늘색이 되어, 이를 보고 하늘을 ‘쪽빛 하늘’이라 칭한다.

+ ‘곤색’은 일본식 표기법이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식물 쪽, 쪽 염료, 쪽으로 염색한 천, 쪽으로 다양하게 염색한 천들)

 

 



 

2. ‘능라도 수박 같다.’라는 속담은 ‘음식이 맛없다.’는 뜻이다.

 

능라도는 평양의 대동강에 있는 하중도로 경치가 아름다워 기성팔경 중 한 곳이다.

하중도라 홍수가 나면 물에 쉽게 잠기고, 여기의 수박은 물을 많이 먹어 밍밍해진다.

그래서 ‘능라도 수박 같다.’는 ‘음식이 맛없다.’라는 속담으로 쓴다.

+ 당연히 능라도에서는 수박 재배를 안 한다.

+ 왜 능라도인지는 필자도 모르겠다.

+ 기성팔경의 ‘기성’은 평양의 이명이다.


 

(왼쪽 능라도 내 능라도5월1일경기장, 오른쪽 수박)

 

 

 


3. 락교는 마늘이 아니고, 마늘과 친척이다.

 

초밥이나 회를 먹을 때 일식집이나 횟집에서 주는 락교는 마늘이나 쪽파뿌리가 아니다.

‘염교’라는 백합과 부추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부추속에는 부추, 마늘, 파, 쪽파 등이 들어가며 염교는 이들과 유전학적으로 친척이다.

실제 생김새는 쪽파와 가장 유사하다.

+ 염교에도 여러 품종이 있고, 락교로 만드는 염교가 있다.


 

(왼쪽 쪽파, 가운데 염교, 오른쪽 절인 락교)

 

 


 

4. 숙주나물의 ‘숙주’는 ‘신숙주’일 가능성이 낮다.

 

녹두로 콩나물을 만든 것을 숙주나물이라고 칭한다.

이름의 유래 중에 단종을 배신하고 세조 옹위에 기여한 신숙주를 비하한 것을 드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설은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이라는 1924년에 발간된 책에 처음 등장한다.

이전에는 ‘두아채(豆芽菜)’, ‘녹두장음(菉豆長音)’ 등으로 표기했다.

+ 그래도 신숙주의 가문인 고령 신씨 종가에서는 제사, 차례에 숙주나물을 안 쓴다고 한다.



 

(왼쪽 녹두, 오른쪽 숙주나물)

 

 

 


5. 상추의 표준어는 ‘상치’였다.

 

상추의 어원은 ‘생채(生菜)’이다. 즉 날로 먹는 채소이다.

이것이 변하여 ‘상치’라고 불렀으나 이후 ‘상추’로 변형되었다.

1988년에 국립국어연구원은 흔히 쓰는 ‘상추’만을 표준어로 인정하고 ‘상치’는 표준어에서 폐기하였다.

그 이전까지는 ‘상치’만이 표준어였다.

+ 아이씨 상치 한 근만 주세요.


 

 

 


 

6. 상추의 영어 이름 ‘Lettuce’는 우유에서 왔다.

 

상추가 고대 이집트에서 로마로 전파되고서 로마인들은 상추를 ‘Lactuca’라고 불렀다.

여기서 ‘Lac’은 라틴어로 유제품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이는 상추 줄기에서 하얀 즙이 나오기 때문이다.

+ 고대 이집트인들은 이 하얀 즙과 정액을 연관 지어 상추가 정력에 좋다고 생각했다.

+ 즉, 이탈리아어의 우유 ‘Latte’와 어원이 같다.


 

(상추 단면에서 나오는 하얀 즙)

 



 

 

7. 무의 표준어는 ‘무우’였다.

 

무는 15세기 ‘무ᇫᅮ’라고 불렀으나 이후 ‘ㅿ’이 사라지면서 ‘무우’라고 불렀다.

이것은 20세기까지 이어졌으며 약 30여 년 전까지 ‘무우’가 표준어였다.

상추와 함께 1988년에 ‘무’만이 표준어로 인정하고 ‘무우’는 표준어에서 폐기되었다.

+ '한글'(워드 프로그램)에서 ‘무우’라고 치면 ‘무’로 자동 수정된다.

+ ‘상치’와 달리 ‘무우’는 아직도 종종 사용된다.

+ 무우가 아주 달고 맛있읍니다.




 

 

 


 

8. 우리나라 토종 무 중에 ‘게걸무’라는 품종이 있다.

 

뿌리의 생김새는 순무와 비슷하지만 순무와는 상관없는 무의 한 품종이다.

경기도 여주와 이천 등지에서만 재배되며 이천의 특산품이다. 일반 무에 비해 수분함량이 적도 매운 맛이 강하다.

게걸무의 어원은 ‘게걸스럽게 먹을 만큼 맛있는 무’에서 왔다.

+ 영어로는 Gegeolmu, Gegeol radish 등으로 부른다.


 

 

 



 

9. 고추 매운맛의 핵심은 태좌이다.

 

태좌는 과실의 중앙에 위치하여 씨를 지지하고 있는 부분이다.

고추의 과피는 매운맛 외에 단맛도 있으나, 태좌는 거의 매운맛이 전부이다.

캡사이신 분포를 보면 과피는 1.7%, 씨는 1.4%, 태좌가 96.9%를 차지한다.

따라서 요리를 할 때 태좌를 긁어낸 고추로 매운맛을 조절하기도 한다.


 

 


 

 

10. 겨우살이는 끈적끈적한 씨를 가지고 있다.

 

겨우살이는 단향과 겨우살이속에 속하는 상록 기생관목이다. 즉 나무이다.

다른 나무의 줄기에 뿌리를 내려 영양분을 흡수하는 형식으로 살아간다.

가을에 달리는 열매는 새들에게 인기가 있다.

새들이 열매를 먹고 나뭇가지에 앉아서 배설하면, 소화되지 않은 씨와 끈적끈적한 점액이 배출된다.

이것이 나뭇가지에 접착이 되어 발아하고 뿌리를 박는다.



 

(왼쪽 겨우살이, 오른쪽 겨우살이의 잎과 하얀 열매)



 

(직박구리가 배설한 겨우살이 씨가 나무에 접착하는 모습)

 

 

 


5 Comments
데미언릴라드 2020.09.28 01:16  
그래서 예전에 마트에서 무우, 양상치 이렇게 쓰여있던 거구나

럭키포인트 12,759 개이득

말술소녀밍키 2020.09.28 15:15  
상치 알면 아재 ㅠ.ㅠ

고추 가운데 종자가 달린부분이 매운거구나....

럭키포인트 14,649 개이득

올리비아혜 2020.09.29 10:16  
[@말술소녀밍키] 그래서 한입먹고
졸라 안맵다고 방심하다가
두 입째 참교욱 당하는거였음...

럭키포인트 24,619 개이득

광광 2020.09.28 21:32  
1. 인디칸-(가수분해)-인독실-(발효)-인디고 불용성-(발효, 환원)-류코체 수용성-(섬유에 흡착, 산화)-ㄹㅇ인디고
3. 염교는 백합과(Liliaceae)가 아니라 수선화과(Amaryllidacea) 부추속
5. 생채는 생으로 먹을 수 있는 채소를 가르키기도 했음 상추는 천금채나 와거라고 불리기도 함
6. 상추의 학명은 Lactuca sativa, lac이 라틴어로 젖 sativa는 재배종을 뜻함 유래는 가시상추(Lactuca serriola)로 보이며 근연종임
9. 신기하게도 고추는 가지과 고추속
10.참나무속 등에 '기생'하는 상록'활엽'관목, 반기생식물

럭키포인트 2,270 개이득

히하 2020.10.06 01:44  
똥~

럭키포인트 23,485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