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머 > 유머
유머

최저임금이 상승한 독일, 그 후

게짚왕 44 2531 13 3

최저임금이 상승한 독일, 그 후


------------------------------------------------------------------------------------------

최저임금제가 없던 독일에서 최저임금제를 시행하고 생긴일.jpg  

제도 시행후 실업률도 오히려 떨어짐


--------------------------------------------------------------------------------------------------------


우리 사회의 경제적 문제들이 부동산 (미친 집값과 임대료) 에서 야기하는게 대다수 인데.... 

이건 싸워봐야 답도 없으니 가지지 못한 개돼지들끼리 서로 물고 뜯고 하는 사회 ㅋㅋ


이것도 독일이니까 가능한건가...  전국민이 개돼지인 헬조센에서는 안되겠지... 


p.s..

임금 몇십원 오르는 것도 싫어하고.. 인건비 아낄려고 별 난리를 치는게 고용주들인데...  

그걸 남녀 소득 불평등이라며 말도 안 되는 소리로 쿵쾅대는 페미년들이나....


결국 대한민국은 모두 개돼지 ㅎㅎ

Best Comment

BEST 1 위도우매우커  
임대료 못잡고 최저임금 올리면 어찌될지..

독일 저 아저씨는 임대료 10년동안 4만원 증가했구만
44 Comments
SupleX 2018.05.29 18:53  
결국 임대료와 임대기간이구나..

럭키포인트 79 개이득

위도우매우커 2018.05.29 18:53  
임대료 못잡고 최저임금 올리면 어찌될지..

독일 저 아저씨는 임대료 10년동안 4만원 증가했구만

럭키포인트 59 개이득

꾸찌남 2018.05.29 22:44  
[@위도우매우커] 저기는 임대료 관련 법안이 없고 주인이 자율적으로 하는데도 임대료가 안오른거임.
우린 대다수 건물주들이 미개해서 임대료 관련 법안이 필요하지.

럭키포인트 97 개이득

먹방 2018.05.29 18:55  
임대료아니라도 사장 썩은놈 많음

럭키포인트 162 개이득

혁명 2018.05.29 18:58  

럭키포인트 83 개이득

너굴너굴맨 2018.05.29 18:58  
임대료 땜시 우리나라는 안될꺼 같음

럭키포인트 439 개이득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19:09  
아니 그러니까 우리나라도 불로소득에 대한 인식을 정부 주도로 바꿔야한다니까
불로도득이 노동으로 인한 금액보다 비율이 크다면 그건 문제있는거야
건물하나 딸랑 사면 노동의 가치보다 더 쉽게 엄청난 돈을 버니 미친거지

럭키포인트 36 개이득

타타 2018.05.29 19:09  
무기력과 절망뿐인 개돼지 이론은 이제 필요없다 자율로 해서 안되면 법으로 잡아야지
그럴려면 그런 생각을 하는 사람 위주로 결정권자들을 선거로 뽑아야지

럭키포인트 2 개이득

타타 2018.05.29 19:11  
[@타타] 나한테 이런일이..
게짚왕 2018.05.29 19:12  
[@타타] 법 만드는 놈들이 건물주임.
선거 뽑는 일반 국민이 개돼지라 안됨 ㅋ

럭키포인트 10 개이득

꾸찌남 2018.05.29 22:46  
[@게짚왕] ㅇㅇ 그 개돼지들도 건물주가 최종목표라 지들 꿈을 짖밟는 자해행위는 못함.
기숙사 건축 반대하는 썩어빠질 개돼지 틀딱들이 표본이자나.
엉덩이 2018.05.29 19:10  
임대료 임대기간도 아닌 임대인을 잘만나야되

갓물주

럭키포인트 394 개이득

시리우스 2018.05.29 19:20  
우리는 카페 주인(코스타)가 모든 메뉴의 가격을 20~30%% 올렸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30%를 올리니 당연히 별 문제가 없었겠지...

럭키포인트 98 개이득

꾸찌남 2018.05.29 22:48  
[@시리우스] 자막을 보면 20~30센트라고 했습니다. 20~30퍼센트라고 안하고.
자막이 잘못된건지는 동영상을 봐야 할겠지만 자막이 틀리지 않았다면 별로 안오른거죠.
시리우스 2018.05.29 22:53  
[@꾸찌남] 독일의 화폐단위에 센트가 있었나?
꾸찌남 2018.05.29 23:39  
[@시리우스] 유로 센트가 있지.
센트가 그냥 100분의 1 단위를 의미하는거잖아
Euro Cent 이미지 검색해보면 많이 나옴.
시공좋아 2018.05.29 19:39  
독일놈들 참 대단함

럭키포인트 37 개이득

꼭정해야됨 2018.05.29 19:42  
차등제로 최저임금적용이 맞다 생각하는데
편돌이만해서 생활가능하면 누가 그외직종에 눈돌리겠나ㅋㅋㅋ 글고 비교할껄해야지 독일이랑 비교를하네
우리나란 기술도 딸리고 인건비도 비싸고ㅋㅋ
국가경쟁력이 똥망인데 기술력으로 커버치는 독일을 비교ㅋㅋ

럭키포인트 465 개이득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21:01  
[@꼭정해야됨] 이건 또 무슨 바보같은 논리야
사람 구하는데 편돌이 수준의 급여로 더 힘든일 난이도 있는 일을 같은 급여로 구하려는
회사가 미친거지 뇌가 있는건가?
꼭정해야됨 2018.05.29 21:02  
[@닉네임만들기귀찮아] ㅎ 최저임금이 그논리로 시작된건 아녔음 우리나라서 변질됐을뿐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21:07  
[@꼭정해야됨] 최저임금 뜻이 말 그대로 최저임금이야
대한민국에서 최소한으로 줘야하는 금액

그런데 편돌이로 먹고살만 하다는 것도 어처구니가 없지만
편돌이로 최저 생활하면서 먹고 살만한게 사람다운 삶인가?

최저임금이 올라도 최저임금 받는 사람은 그 나라에서 밑바닥 생활하는 사람이라는걸
생각해야지
꼭정해야됨 2018.05.29 21:28  
[@닉네임만들기귀찮아] 편돌이만해서 생활가능하다면 이랬는데 그게 그리해석되나 생업에 필요한 직업이랑 보조개념의 아르바이트는 차등을 둬야된단소리로 한말인데

니가 한말이 아에 틀렸단 소린 아닌데 최저임금은 말그대로 노동자의 최소한의 삶을 영위하기위해서 가이드라인그은건 맞는데 직종불문하고 단순노무직의 기준임금이되버렸지 이금액 이상 줄 필요성이 없다 뭐 물론 전문기술직종들에겐 전혀 관계가 없기도하나 월급인상폭에 영향은 끼치지

그리고 올해 최저임금인상으로 노동자가 그돈 고스란히 받는건 아니지 떼는 세금도 늘어났거든
최저임금으로 생활하는 사람에게 세금을 더 받고
그리고 사업주도 고스란히 세금올라서 나라서 세금걷을 구실만 늘어났지

노동자가 손에 쥐는 돈은 크게 오르지않고 사업주는 부담이 커지고 그로인해서 고용악화는 따라오고 사업주든 노동자든 상황만 안좋아졌는데 이글에서처럼 마냥 최저임금 오르면 모두가 잘살수 있다는 뉘앙스를 풍기는 글을보니까 얼탱이가 없어서 싸지른글이니 너무 열올리지는 마

진짜 최저계층을 위한다면 최저임금상승이아니라 불필요한 복지를 줄이고 더불어 세금도 인하하고 물가안정을 위주로 정책방향을 잡아야 맞다고 보는 입장이거든
월급이 안오르더라도 물가가 안정된다면 체감적으로는 생활자체가 좀더 나아지니까

난 그저 뜬구름잡기식으로 최저임금만원하면 모두가 행복해진다는 식으로 떠드는 애들의 1차원적인  마인드가 극혐일뿐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21:36  
[@꼭정해야됨] 생활에 필요한 보조개념이라는데
아르바이트도 보조가 아니야 아르바이트 요즘에 그걸로 생계유지하는 사람도 많다 그럼 아르바이트가 문제냐? 아르바이트가 먹고 살만해서
그걸로 생계유지하는거야? 앞뒤가 안맞는 논리자나 처음부터

그리고 임금 오른다 세금 더 낸다  정부만 좋아짐
이게 또 뭔 논리야
그럼  최저임금 안오르고 그냥 놔두면 뭐가 좋아지냐
고용주 건물주가 부가 늘어나 중산층이 설마 늘어난다고 생각하는거야?

우리나라의 90프로는 노동자야 누구 밑에서 일하는 사람이라고
임금은 별로 안올랐는데 경제는 이상하게 꾸준히 상승했지?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삶의 질이 만족스러워? 대부분 아니오 라고
말하는건 왜 일까?

최저임금이 안오르고 정체되어있는 나라가 정상적인 나라라고 말하고 싶은거야? 선진국들의 공통점은 노동의 가치가 재대로 보장받는 나라들뿐이야
미국이 유럽이나 기타 잘산다는 나라중에 노동가치가 재대로 보상 안되는 나라 있으면 거론좀 해줄래?
꼭정해야됨 2018.05.29 21:47  
[@꼭정해야됨] 아르바이트로 생계유지하는게 정상적이진 않지
가구상황에 맞게 일할수도 있다만 글쎄

정부만 좋아진다는건 최저임금으로 노동자나 사업주나 큰 혜택은 없는데 악영향만존재 무분별복지에 사용하려는 세금걷기용 쇼다  이뜻

건물주 세금올리면 월세가 안오를까?

최저임금 건드리기보다 물가를 잡는데 주안점을 둬라 돈 올리는 척 쇼는 눈가리고 아웅이다

낙수효과는 존재치않는다? 군산 거제도 경기는 낙수효과가 존재치않아서 그리됐나?

노동가치가 존중받으려면 그에 맞는  기술력과 생산성이 뒷받침되어야 되는데 우리나란 해당없음

열올리지마라 
내가 쓴글이 너무길어 혼동왔나본데

최저임금쇼는 무의미
물가안정이 서민생활에도움
최저임금만원은 뜬구름잡는소리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21:57  
[@꼭정해야됨] 최저임금이 오르는데 어떻게 일반 노동자한테 혜택이 없다는 논리가 나오지
지난 이명박 시절 유럽과 미국의 경제위기 당시에
유럽과 미국이 경제 위기 돌파를 위해 소비를 늘리기 위해 실행한
정책이 최저임금 인상이였는데?

그리고 지금 유럽 미국 경기 회복했자나? 이게 비단 단순히 최저임금때문이다가 아니라 선진국들이 왜 경제 불황인데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한
소비를 늘리기 위핸 정책을 펼쳤냐를 잘 살펴봐야 하는거 아니냐?

그래서 지금 최저임금 정책으로 유럽과 미국이 경제가 실패했어?
꼭정해야됨 2018.05.29 22:07  
[@꼭정해야됨] 그럼 반대로 최저임금 최대상승폭인데도 경기는 개박살나고 무역수지는 삼성을 제외하면 처참할정도가 된거지?

미국 대공황때 대규모토목사업으로 위기를 벗어났으니 4대강 시즌2를 하는게 맞다?

최저임금이 백날 올라봐 물가 안잡고선 이래나 저래나 손에 쥐는게 없는건 매한가지고 허리띠 졸라매는 현실이 싫어서 최저임금 더 올려달라해서 올려줘본들 물가가 따라올라 결국 달라질건없는데

사업주의 기준에선 사업의 존폐가 오락가락한다 그나마 허리띠졸라맬돈이라도 벌수있던곳이 사라지면 사업주가 하루아침에 편의점 알바라도 할것같지?
사업주는 막대한 이윤혼자 다 해먹어서 아무리뜯어내도 늘 그자리에서 돈줄꺼같지?

200만원으로 그나마 여유를 조금이라도 가지며살지 300만원으로 돈받는 기분내는데 허리띠는 더이상 줄일칸이 없이 살지

아직도 이해못했다면 더 논쟁할 필욘 없는듯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22:17  
[@꼭정해야됨] 너 글 쓰는것 보면 상업하는 사장님 처럼 글을 쓰는데
그 기준으로 말해줄께
우리나라의 상당수 중소상인들 대부분 누구 상대로 장사하냐?
중소상인들 대부분 일반 노동자들 계층이 주 고객층이야
우리나라가 계속 소비가 늘지 않는 이유중에 하나의 가장 큰 근본적인 이유가
그 주 소비층이 소비하지 않아서 계속 내수가 죽는거고

왜 대부분의 중소상인들의 주 고객층이 소비를 하지 않을까
소비할 여력이 없으니까 못하는거야 임금 오르니까 물가 오른다고
의미없다는 논리는 그냥 단순히 니 주장이고

유럽이랑 미국이 경제정책 펼치는 관료들이 무능해서 최저임금 인상을 한것도 아니고 기존에 있던 그 낙수효과라는 정책을 이미 오래전에
실행해봤지만 그게 실패해서 다른 정책으로 선회한게 최저임금 인상이야
니가 반론해야할건 다른게 아니라 유럽과 미국이 경제 위기 당시에
최저임금 인상을 대폭으로 올렸는데 그 정책이 실패였다라는 이유와
근거를 제시하는게 훨씬 설득력이 있다고 본다
그냥 주장만 펼치지 말고 실제로 미국과 유럽은 최저임금 인상 이후
소비가 늘어났어
꼭정해야됨 2018.05.29 22:33  
[@꼭정해야됨] 그러니까 되물었잖아 최대인상폭인 최저임금시즌이였는데  실물경기는 왜 개작살이 났는지도 알려달라고
최저 임금인상폭이 부족했다?

최저임금이오르니까 물가가 올랏다는게 내 의견일뿐이라고? 물가오르는 뉴스가 그리떳는데도 그걸 단순한 내 의견으로만 보네


그리고 서구는 서구고 우린 우리고
그네들은 성공을했는데 우린 실패한게 인상률 부족이 아니라 인상률에 못미치는 소비지수의 원인을 찾아야지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말하지만 걔들 산업구조는 정점이고 우리는 대만정도랑 싸우는 수준이다
생산비는 중국에털려 기술력은 일본에 털려 가성비는 꼴랑 대만이랑 아웅다웅
이와중에 서구권과 제도를 비교..

너무1차원적인거 아니냐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22:35  
[@꼭정해야됨]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8370

여기 링크 걸었다 오늘 나온 뉴스네
소비 심리가 6개월 만에 상승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22:37  
[@꼭정해야됨] 살다살다 이제 대만 비교는 처음 들어보네
대만을 이긴지가 언제인데 도대체 대만 드립은 어디서 나오는거야?

그리고 우리나라 과거부터 이야기하던게 센드위치 경제인데
그 논리대로라면 지금 10년전에 망했어야는데?
중국 싼 물건 일본의 기술  한국이 센드위치에 몰려 위기
그런데 현실은? 그래서 센드위치에서 망했냐?
꼭정해야됨 2018.05.29 22:41  
[@꼭정해야됨] 한은은 "남북 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개최, 북미 정상회담 개최 합의 등으로 가계의 경기 기대감이 개선됐다"며 "미중 무역전쟁을 둘러싸고 양측 정상의 우호적 발언이 이어진 점, 4월에 비해 평균 환율과 주가가 상승한 점도 소비자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한은 인터뷰 내에 최저임금관련 언급없을 뿐더러 16퍼이상 최저임금이 상승됐는데 작년6월 보단 낮다
꼭정해야됨 2018.05.29 22:46  
[@꼭정해야됨] 살다살다 대만 비교는 첨듣는건 니 풀이좁아서 그런거고.제조업 기반의 우리나라가 대만기계랑 비교당하는건 니가 모르는거고

단순하게치면 볼베어링만해도 국내제품이 무슨취급당하는지는 알고 하는말? 하이엔드는 일본독일 싼마이는 중국 가성비는 대만 한국

국내 중공업에서 수요가 많은 베어링 어느나라꺼 쓰게?

샌드위치서 한방에 망하나 말라죽어가는거지
반도체 제한 나머지 산업에선 작살나는중인데 그러니 그 여파가 다 노동자들에게까지 가는거지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22:51  
[@꼭정해야됨] 언급없으니 영향이 없다고 말하고 싶은거냐?
소비 심리가 얼어붙는데는 요인이 보통 두가지가 있어
앞으로 전망이 어둡거나 소비할 여력이 지금 없거나

반대로 소비심리가 늘어나는 요인은
앞으로 전망이 밝거나 소비할 여력이 있거나고

지금 소비심리가 위축된 가장 큰 근본적인 이유는 경제 전망이
어두워서야 그리고 지금 실업률이 지금 상당히 좋지 않은 수준이고
그러니 당연히 소비심리가 얼어붙을수 밖에 없는거고

지금 소비심리가 상승한건 남북경협이라던지 경제가 좀 살아나까봐
상승한 요인이 있는건 맞는 이야기

임금인상이 소비로 촉진되려면 실업률을 지금 해결하는게 급선무인건 맞는 이야기다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22:56  
[@꼭정해야됨] 너 센드위치 이야기를 한 제품에 관련해서 그것도 우리나라 강점도 아닌것을 들고와서 이야기하는건 코메디자너

우리나라 과거부터 샌드위치 경제로 망할꺼다 위기다 했는데
현실은 중국보다 품질은 좋아 일본보다 가격이 저렴해
오히려 센드위치로 경제 위기가 온게 아니라
오히려 중저가로 오히려 상황이 좋았어 이게 언제까지 갈꺼인지는 모르겟다만 적어도 니가 주장하는 샌드위치 위기는 현재까지는 헛소리였지

베어링 가지고 무슨 우리나라 주력도 아닌걸 가지고 경젱력이 막 대단한 상품도 아닌걸 가지고와서 비교한다고 대만 비교하고 있어 장난해?
꼭정해야됨 2018.05.29 22:57  
[@꼭정해야됨] 5ㅡ6월은 날이좋아 놀러다니니 소비심리가 올라가는거고 그리고 최저임금상승률에 비해 작년보다 낮은 이유 그리고 실업률 급증이유도 설명해봐 과연 최저임금여파가 없었을까?

나도  짜맞추기로 가는것도 있다만
넌좀심해
닉네임만들기귀찮아 2018.05.29 23:02  
[@꼭정해야됨] 날이좋아 놀러다니기 헐 그럼 경제가 좋든 나쁘든
날이 좋으면 소비 심리가 늘어난다는 주장이야?
그리고 내가 링크 건 뉴스에 너는 나한테 반론한게
소비심리 상승 요인에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라고 주장하면서

니가 나한테 반론하는 내용은 소비심리가 증거한거
뉴스에도 없는 날이좋아 소비심리가 늘었다라고 주장하는게
이게 맞는 논리냐?

우리나라에서 실업률 급증은 중소상인의 영향은 아주 쥐톨만큼도 없어
우리나라에서 실업률의 가장 큰 영향은 제조업이지
중소상인의 고용이 줄어서 실업률에 영향을 미칠정도로 우리나라였으면
지금 처럼 중소상인 죽겠다 아우성 칠일도 없고 마찬가지로
다들 잘먹고 사느라 임금 문제로 논란도 안된다
그만큼 내수시장이 탄탄하다는 소리니까
꼭정해야됨 2018.05.30 06:41  
[@꼭정해야됨] 자꾸 병림픽시도하네

5ㅡ6월에 소비심리상승된다는 멘트 뉴스서 흔하게듣는데 첨듣나보네

그리고 최저임금올려도상관없단식으로 나와놓곤 결국 여파가 실업률에 영향 심히 끼치네

실업률 증가하는데 소비심리올라갔다고 뭐 들고오면 뭐하냐  최저임금올라가서 작살나는게 현실인데 인정할줄모르네
꼭정해야됨 2018.05.30 06:51  
[@꼭정해야됨] 자 그럼 처음으로 돌아가서 최저임금이 만원으로 올라간다면

고작 7600원대으로 올랐다고 오른 실업률이 잡히고 위축된 소비심리가 살아나고 다 행복할까? 우리나라 자영업숫자부터 제대로알고 접근하고 니 논리에 모순부터 해결을하고 최저임금 만원이든 이만원이든 주장해라

최저임금받는중인것같은데 말그대로 최저임금
니 몸값은 꼭 나라에서 안올려줘도 오를방법있으니까 힘내시고 노력하시고
상괭이 2018.05.30 00:29  
그래 문제는 임대료지 쥐뿔만한 인건비가 아니라

럭키포인트 36 개이득

Madbum 2018.05.30 08:58  
국민성 공생 타인에의 존중이 핵심이라고 본다
우리나라는 자기 잇속 챙기는데 혈안이 되어있지

럭키포인트 465 개이득

고양이 2018.05.30 10:26  
임대료 개꿀

럭키포인트 303 개이득

에이원 2018.05.30 11:37  
우리나라는 별 꼼수를 다 부려서 임금은 비슷하게 유지하면서 최저임금 핑계로 물가는 존나 오르는데 읍읍이는 관심이 없지

럭키포인트 325 개이득

아만 2018.05.30 21:06  
임대료 문제가 진짜 심각함 한국. 보증금 몇천만원 부터 시작해서 월세 또한 어마무시한 반면에 독일은 보증금이 법적으로 월세의 최대 3배까지만임. 일반적으로 보증금이 월세의 2배~3배임. 내가 사는 곳이 현재 68제곱미터/20평에 월세 약 70만원에 관리비 30만원, 보증금은 3개월치 월세임. 관리비에는 말 그대로의 관리비와 가스,냉온수 비용까지 포함됨. 현재 사는 곳이 공용정원/공원이 드럽게 넓어서 관리비가 좀 쎄긴하지만 아주 좋음. 추가로 개별지하창고도 있고.

한국이였다면 보증금은 수십배, 월세는 몇배는 들었을꺼임.
이게 한국의 불스아이라 생각함. 권리금 같은 법적으로 금지시켜버리고 보증금 제한과 월세를 잡아야함.

럭키포인트 397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