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머 > 유머
유머

Best Comment

BEST 1 검정파우더  
붉다, 빨갛다, 불그스름하다 그런 어휘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를 꽤 뚫는 통찰, 인간의 본성과 내면을 소설속
인물들에 투영해 현실 사회의 갈등 들을 글로 보여줘야 하는 거지,
우리가 널리 읽는 헤미웨이, 까뮈, 쿠치의 소설들이
글 속에 형용사가 대단해서 세기의 작가라고 하는 게 아니잖아
30 Comments
친목밴 2022.03.22 21:56  
문과 비하하면서 한국문학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길 원하니 참...

럭키포인트 26,184 개이득

dmshit 2022.03.22 22:38  
[@친목밴] 문과비하가 진짜 경멸하는 비하가아닌 취업이 어려운 상황에서 나오는 비하잖아요ㅎㅎ 문과 당사자도 자조섞인 비하를 하는 시대니까요

럭키포인트 25,670 개이득

잌킼 2022.03.22 23:33  
[@dmshit] ㅋㅋ이공계에 진짜 문과 무시하는애들 개많은데

럭키포인트 23,267 개이득

bbhkp5 2022.03.22 23:43  
[@잌킼] 그러니까 그 무시하는 애들이 취업률 낮은 거로 무시하는 거지 문과를 경멸하는 비하는 아닌 거 아님?그건 문과생들도 자학 개그로 써먹는 부분이고요.문학 자체를 비하하는 사람은 거의 없잖아요.위에 분은 그걸 말하시는 거 같은데...
근데 웃긴 건 이과생들도 똑같이 이과를 무시하는데 우리나라가 어떻게 기술 발전을 하겠냐는 얘기를 예전부터 해왔다는 거임ㅋㅋ

럭키포인트 29,474 개이득

잌킼 2022.03.22 23:45  
[@bbhkp5] ㄴㄴ걍 배우는것도 없고 쓸모없는학문이라고생각하는애들 진짜 조오오올라많음
이게 머 별볼일없는애들이그러는게아니라 공부좀하는애들이 이런생각 개많이함ㅋㅋ
bbhkp5 2022.03.22 23:52  
[@잌킼] 제 주변엔 없다보니 그런 생각은 못해봣는데 그런 사람들이 있으면 기초 과학을 천시하는 사람들과 본인들이 똑같은 사람이라는 걸 모르는 듯.요즘엔 또 상황이 많이 다른가 보네요.예전에는 취업률 비하는 있어도 학문 자체를 비난하는 건 없었는데 좀 그렇네요.
잌킼 2022.03.22 23:46  
[@bbhkp5] 이과를 무시하는게 아니라 기초과학을 천시해서 기술발전이안된다는얘기는 많이들어본듯?
털보상사 2022.03.23 02:19  
[@잌킼] 기초과학이 토대를 받쳐야 응용과학이 살아갑니다.
한마디로 수학 못하는 애가 과학 잘하기 힘듭니다.
물론 단순 암기 부분은 예외이긴 합니다

럭키포인트 17,967 개이득

가을방학 2022.03.23 00:27  
[@잌킼] 댓을 가볍게 써서 비추먹은듯?? 이과애들 공부 좀 한 사람중에 문과가 본인들 밑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다수아냐? 생산성없고 말장난하고 머리안좋다고 생각하는 사람 개많잖아 솔직히

럭키포인트 19,549 개이득

잌킼 2022.03.23 00:33  
[@가을방학] ㅇㅇㅋㅋ물론 본인들도 메디컬이나 법조인들한테 무시당하면 똑같이 ㅂㄷㅂㄷ할거면서 왜그러는지는 잘모르겠음
가을방학 2022.03.23 01:43  
[@잌킼] 맞지 누구 무시할 직업이 대체 어딨음. 이유를 찾자면 솔직히 대학때 문과애들 수업보고 놀라긴함. 걍 검색하면 나오는 거 배우는느낌...? 매학기 공강날이 있는것도 신기했음 4년간 공강이 없던 공돌이 입장에선,,,
잌킼 2022.03.23 00:34  
[@가을방학] 그나마 전문직들이 명맥을 잡고있는듯 문과8대전문직
잌킼 2022.03.23 14:16  
[@가을방학] ㅋㅋ상경계는 그렇지는않음 특히 회계나 재무나 금융루트타면.....
데미안릴라드 2022.03.22 21:58  
최광희가 아카데미상 받을때 이럴때만 관심 가진다 이런걸로 깟다가 욕먹엇는데 이 본문과 맥락은 같으면서 이렇게 다르게 느껴지네

럭키포인트 7,754 개이득

프슥이 2022.03.22 22:05  
그냥 단순히 현재 한국문학에는 잘쓰는 작가가 없음. 사람들이 문학에 관심없는 이유도 재미없으니까 관심이 없는거.

럭키포인트 10,638 개이득

팬톤컬러 2022.03.22 22:43  
[@프슥이] 글쓰면 굶어죽거든..

럭키포인트 26,248 개이득

초코칩반도체 2022.03.22 22:43  
[@프슥이] 한국 좆같은 문학상 받아야 작가라는 지들끼리 만든 시스템 때문에 글 잘 쓰는 사람들은 애초에 웹소설 시나리오 유튜브 작가로 다 빠져나가고 방구석 굴파는 작가만 남아서 재미없는 게 맞지.

럭키포인트 29,026 개이득

bbhkp5 2022.03.22 23:49  
[@프슥이] 이건 말이 안되는 게 잘쓰는 작가가 없어서 문학에 관심이 없는 거라면 해외 문학이라도 많이 접해야됨.근데 우리나라가 해외 문학에는 뭐 관심을 두나?전혀 그렇지 않잖슴.그러니 잘쓰는 작가가 없어서라기보다는 그냥 국민들이 유튜브,아프리카,트위치같은 각종 영상 매체가 발전한 이후로 문학에 관심이 없어졌다고 보는 게 맞다고 봄.
거기에 웹툰,판타지,연애 소설은 잘팔리는 걸 보면 잘쓰는 작가가 없어서가 아니라 좀 더 쉽고 간단한 인스턴트형 글에 길들어졌다고 봐야할 듯.결국 이것도 영상 매체가 발달하면서 호흡이 긴 글이 어색해져서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듦.
옛날에는 책으로밖에 접할 수 없다보니 이런 차이가 있는 건가 싶기도 하고요.
가을방학 2022.03.23 00:27  
[@bbhkp5] ㄹㅇ이게맞지 해외책도 조또 안읽자나 다들
프슥이 2022.03.23 00:29  
[@bbhkp5] 국내 문학의 저변이 확대되어야 해외 문학을 접하는 것도 용이해진다고 생각함. 분명 해외문학에 관심이 많을 때가 있었음. 그게 이어지지 못한 건 결국 국내 문학이 힘을 못쓰기 때문임. 불모지에서 주울 낱알조차 없어지니 영상매체쪽에 더 힘이 실렸다고 생각함. 물론 영상매체의 유행은 시대의 거대한 물줄기가 맞음. 하지만 한국문학이 매말라버린 원인이 영상매체라고 생각하지는 않음.
 한국문학에 잘쓰는 작가가 없는 이유는 위 사람이 말했던 것처럼 한국 문학계 지들끼리의 잔치기 때문임. 위에 있는 사람의 말처럼 잘 쓰는 인재는 웹소설 유튜브로 보내버리고 그 컨텐츠들은 불가촉천민마냥 문학 취급도 안해줌. 언젠가 문학계 비평가랑 이야기를 하면서 고지식한 문학계 타파해야한다는 말 했다가 귓등으로도 안듣는 거 보고 한국문학은 가망이 없다고 생각함. 한국 문화관련 매체에 인재는 많음. 하지만 한국 문학에 잘쓰는 사람은 없음.

럭키포인트 26,423 개이득

bbhkp5 2022.03.23 03:04  
[@프슥이] 국내 순수 문학쪽은 저도 안본지 오래돼서 사실 인재가 어떤지는 잘모르겠음.근데 판타지,무협,로맨스,웹툰 등등을 보면 요즘 독자들의 수준이 많이 떨어진 걸 볼 수 있음.특히 실질적 문맹이라고 하는 부분이 도드라짐.대사의 흐름을 못읽어서 주인공: 대사, 친구A: 대사 이런 식으로 인물 표시를 안하면 누가 말한 건지도 모르는 경우도 많이 발생함.

그런 걸 보면 한국문학의 수준 이전에 독자들이 쉽고 간단한 인스턴트식 문학을 선호하면서 순수 문학을 쓰면 돈이 안되니 장르 문학으로 많이 넘어 간 걸로 알고 있음.
근데 이건 제가 알기로는 그런거고 제가 명확한 근거가 있는 게 아닌데다가 님 말도 충분히 일리가 있어서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같기는 함.

고지식한 문학계는 뭐...이미 순수 문학으로 밥벌이가 안돼서 버티질 못하고 넘어가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시간이 지나면 알아서 인정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기는 함.하기야 근데 그때쯤이면 순수 문학의 저변은 더 박살날 거 같은데...인재는 인재대로 장르문학으로 넘어가고 독자는 독자대로 순수 문학을 기피하게 되고 그러한 상황에서 노벨 문학상은 바라고...총체적 난국이네요.
털보상사 2022.03.23 03:04  
[@bbhkp5] 이미 유튜브 아프리카 트위치 같은 것이 없을때도 문학에 관심이 없었음
다들 먹고 사느라 문학에 관심보다는 뭐라도 돈되는 일에만 매진하느라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이미 인문학 분야는 죽어있었음. 웹툰 판타지 연애소설은 10대들에게 먹히는 것이지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 먹히는게 아님
초코칩반도체 2022.03.22 22:44  
프랑스 가면 공원 카페에 사람들 전부 손바닥만한 책읽고 있지
콩벌레 2022.03.22 22:51  
BL소설들은 잘쓰자나

럭키포인트 24,810 개이득

검정파우더 2022.03.22 23:13  
붉다, 빨갛다, 불그스름하다 그런 어휘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를 꽤 뚫는 통찰, 인간의 본성과 내면을 소설속
인물들에 투영해 현실 사회의 갈등 들을 글로 보여줘야 하는 거지,
우리가 널리 읽는 헤미웨이, 까뮈, 쿠치의 소설들이
글 속에 형용사가 대단해서 세기의 작가라고 하는 게 아니잖아

럭키포인트 10,521 개이득

락스유한 2022.03.22 23:27  
[@검정파우더] 엄청 공감되는 말입니다 붐업드립니다

럭키포인트 3,185 개이득

Durant 2022.03.22 23:16  
미래에 한국문학인중 최초 수상자는 누구일까

럭키포인트 10,161 개이득

대왕 2022.03.22 23:59  
이번에 이수지 작가가 한국 첫 안데르센상 수상 했더라

럭키포인트 23,848 개이득

Helldiver 2022.03.23 00:57  
ㄹㅇ 버스건 전철이건 책 읽는 사람 하나도 없는데 무슨 문학상을 받아

럭키포인트 944 개이득

장주 2022.03.23 08:12  
나도 국내 소설들이 영화나 드라마화되면 좀 관심 가져봤지 원래 챙겨보진 않아서 할말 없네. 그래도 노벨 문학상타길 기대해본적은 없음 ㅌ

럭키포인트 25,292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