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머 > 유머
유머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불량우유 1 711 2 0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지구 온난화가 진행된지도 어언 수십년째 



해수면 온도의 상승은 계속되고 있고 그로 인한 환경적 변화 역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 최근에의 한반도 인근의 수온 상승은 개중에서도 매우 급격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당장 오늘자 전세계 수온 평균 이상치를 봐도 북서태평양 일대와 한반도 근해는 매우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cdas-sflux_ssta_global_1.pn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chart (1).pn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global_rngmn.pn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지구온난화로 인해 전지구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니 북서태평양의 수온 역시 당연히 오르는 거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고작 그런 것으로 치부하기에는 뭔가 다른 이유가 있어 보인다 






sstanom_world-wt3_2025_d179.pn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만약 그러한 이유가 따로 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일까? 







여기서 잠시 다른 내용으로  넘어가 보도록 하자 




만약 지구과학을 선택했던 사람이라면 많이 들어봤을 것이고 알 것 이다 



바로 엘니뇨, 라니냐다



엘니뇨 라니냐는 익히 들어봤겠지만



중앙 태평양 적도 부근에서의 무역풍의 세기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전지구적인 자연적인 기후변동 과정 중 하나이다 



nino-regions.gif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이러한 엘니뇨 라니냐는 nino 3.4 구역의 해수면 변화를 기준으로 삼게 되고 




열대 중태평양에서의 적도 무역풍의 세기가 평년보다 강해지는지 약해지는지에 따라 주기적으로 나타나는데 






쉽게 말하자면 


적도 무역풍이 평년보다 약해지면 엘니뇨 



평년보다 강해지면 라니냐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엘니뇨의 경우 심해수의 용승이 약해져 동태평양의 수온은 높아지고 이로 인해 nino 3.4 구역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라니냐의 경우 무역풍의 강화로 인해 용승이 활발해지고 이로 인해 동태평양과 nino 3.4 구역의 해수면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04_01_01t (1).pn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이로 인해 태평양의 수온은 엘니뇨 라니냐 시기에 이렇게 변화하게 된다 





엘니뇨 라니냐.jp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보통 통설로 이러한 엘니뇨 및 라니냐의 영향으로 인해 한반도에 날씨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엘니뇨 라니냐가 한반도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역학적 관계는 있을 수 있으나 


뚜렷한 상관관계는 부족하다는 게 현재 정설이다.  



그래도 이를 설명해보자면 




7593239449_486263_427bc285d5ef710ff3a1d1c06aa4315b.jp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통상적으로 엘니뇨 시기 겨울철은 따뜻한 겨울을 



7593239449_486263_1a28dcb69f11a5fc06bfa994a948451d.jp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라니냐 시기 겨울철은 추운 겨울을 불러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04_01_02t.pn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한편, 이러한 엘니뇨 및 라니냐는 



이렇게 몇 년마다 빠르게 엘니뇨 중립 라니냐 상태를 오가면서 변동된다 



fig2_ENSO-SSTA-before-after-1960.pn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해양은 이전의 수온 상태가 혼합층 전체에 퍼지게 되고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혼합층의 깊이로 인해 


이전에 누적되었던 온도 이상이 표층에서 다시 나타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바로 PDO(pacific decadal oscillation)  태평양 10년 주기 진동 또는 태평양 수십년 주기 진동이라고 함 




PDO 역시 엘니뇨 및 라니냐와 같이 양의 값 음의 값을 갖게 되는데 



양의 상태(Positive)일 경우 아메리카 대륙 서안의 해수면 온도의 상승을 



음의 상태(Negative)일 경우에는 북서태평양 일대에 해수면의 상승을 유도하게 됨 





full-jcli-d-14-00647.1-f1 (1).jp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PDO PositiveAndNegative.gif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이러한 PDO는 엘니뇨 및 라니냐와 비슷하지만 분명히 다르다라고 볼 수 있음 





PDO ENSO.jpe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양의 PDO 상태일 때의 해수면과 엘니뇨의 경우는 동태평양과 아메리카 서안의 높은 수온 등 그 양상이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 PDO 패턴의 경우 5~7년 주기로 반복되어 나타나는 엘니뇨 라니냐와는 다르게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의 누적으로 인해 발생한 효과이기 때문에 



20~30년 주기 또는 최장 50년 주기의 변동 과정으로 나타나게 됨 



PDO EINO.jpe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실제 PDO와 엘니뇨 라니냐의 주기 영향 인자를 보면 그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볼 수가 있음 




즉 PDO는 엘니뇨 및 라니냐에 따른 현상의 누적으로 발생하는 효과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PDO 지수는 지난 수십년의 매우 긴 주기를 거치면서 변동 되어 왔고 


PDO.pn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여기서 바로 제목의 내용의 원인을 말할 수가 있는데 


최근에의 높은 해수면 원인의 요인 중 하나가 


바로 PDO 값의 음(negative) 의 지수 상태이기 때문임 



image.webp.ren.jp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PDO(2).pn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특히 PDO 값은 지난 2017년을 기점으로 음의 편차로 서서히 그 경향을 바뀌어 나가기 시작했고 




역대 최악의 폭염이 닥쳤던 2024년에 지난 180년간의 역사상 최저치인 -3.8의 음의 편차를 찍는 수준에 까지 도달했음 




 


 



따라서 현재의 북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높은 해수면 온도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온도의 상승과 더불어 



이러한 PDO 값의 요인 역시 크다는 것을 알 수가 있음



ssta.daily.current.png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PDO PositiveAndNegative.gif 미친듯한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근해의 수온 그 원인은 무엇일까?

 





이러한 PDO 값으로 인하여 북서태평양과 한반도 인근에서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 경향 역시 강하다는 역학적인 추측이 가능하고 




 


여기에 최근의 기온 상승으로 인해 점점 강해지게 된 티베트 고기압과 결합하게 되어 


강한 열돔을 불러일으킨다는 역학적인 추측까지도 가능하다... 



즉, 최근에의 뉴스에서 심심찮게 보이는 열돔 현상에는 이러한 음의 PDO 값 역시 일조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이런 PDO 음의 편차 경향은 20~30년 주기로 바뀌는 경향이 있으니 


아마 2020년대 말까지는 뉴스에서도 열돔 현상은 계속 해서 보게 될 가능성이 높다...





세 줄 요약 



1. 북서태평양의 높은 해수면 온도에는 PDO 태평양 10년 주기 진동이라는 기후 요인 인자의 영향이 크다 




2. 이러한 PDO 값은 엘니뇨 라니냐로 인한 변동 과정의 누적으로 인해 발생한다 



3. PDO 음의 편차의 경향( 북서태평양의 높은 해수면 온도) 은 아마 2020년대 말까지 더 갈 가능성이 높다




ㅊㅊ- https://www.fmkorea.com/best/8592618299


1 Comments
벤자민프랭클린 5시간전  
엘니뇨 라니냐 WTO 예!

럭키포인트 7,487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