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Best Comment

BEST 1 메르카토르  
공무원 말고 대학가고 회사가면 꿈 있는건가?
의미없이 성적맞춰 대학가는 것보단 훨씬 나은 선택이지ㅋㅋㅋㅋㅋ
84 Comments
리얼슬뤄 2020.01.08 09:27  
[@한국일보] 분위기가 조금도 바뀌지 않았어요. 제가 취업하던 10년 전에도 그랬고
방금 물어보니까 저 보다 더 먼저 17년전에 취업하던 친척형도 분위기가 그랬다고 하네요.
혹시나 해서 그 친척형보다 더 먼저 취업한 23년전에 취업하던 친척형도 분위기가 그랬다네요 -_-;;

그쪽이 말하는 도전이라는게 뭔지는 모르겠지만 -_-;;
뭐 고등학교, 대학교 졸업하는 분들에게 사업을 하라는것도 아닌데 뭐 그리 큰 리스크가 있다고 주저하게 되나요.

무슨 꿈을 얘기하는건지 모르겠지만
일반기업에 가면 무슨 꿈을 못꾸는거고. 공무원을 하면 무슨 꿈을 꿀수가 있나요? -_-;;;

SNS는 행복해서 행복한게 아니라, 뭐라도 자랑하고 정신승리하면 그쪽도 당장 행복해질수 있어요.

마치 모든 세대가 본인이 말한것과 동일하게 느끼고 살아오는것처럼 얘기하는데
제 주변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더 많은것 같습니다.
한국일보 2020.01.10 14:36  
[@리얼슬뤄] 안녕하세요 형님,
댓글 의견 감사합니다.
제가 독감에 걸려 이제야 답글을 답니다.

1. 먼저, 제가 윗 글에서 언급한 '도전'과 '꿈'의 의미를 말씀드리자면,
현 세대에서 도전은 '정년이 보장되어 있지도 않고, 불필요한 경쟁이 팽배한 '일반직장'의 구직활동을 말한 거고요
'꿈' 부분은 대구로 언급했는데, 맨 처음 꿈은 '장래 희망' 아래 공무원 부분의 '꿈'은 말 그대로 잠을 잔다는 의미로 작성한 것입니다.
불확실한 미래를 꿈꾸느니, 소소하지만 확실한 직장을 갖고 집에서 발뻗고 자는게 낫다고 본다는 함의였습니다.
끝으로 형님께서 말씀하신 분위기는 '취업 시장의 분위기'를 언급하신 것 같습니다.
제가 말한 '분위기'는 사회 현상의 분위기를 뜻한 것이고요.

2. 10년 전이면 2010년에 취업하신 것인데, 제가 12년도 취업이니 저랑 비슷한 연배시군요.
위에 언급하신 10년전, 17년전, 23년전 취업 상황의 분위기는 한결같이 얼어붙어있었죠.
언급하신 년도의 통계를 살펴볼까요?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의원인 '금재호'님의 통계를 참조했습니다)

18~29세 청년 취업자와 고용률 지표인데요.
 - 1997년 취업자수 5,301(천명) / 고용률 58%
 - 2003년 취업자수 4,582(천명) / 고용률 54.8%
 - 2010년 취업자수 3,889(천명) / 고용률 51.9%

보시다시피 경제둔화에 따라 취업자 수와 고용률 모두 천천히 하락세였어요.
대기업들도 점차 고용 인원을 줄였고, 더 좁아진 취업문을 통과하기 위해 토익/어학연수/대외활동 등이 강조되기 시작했죠.
전공보다 남들보다 더 독특한 가욋일을 만드는 게 일상이 됐어요.
없는 스펙을 쌓기 위해, 이력서 한줄을 채우기 위해 휴학을 하고, 계획에 없던 해외에 나가요.
이 정도야 개개인의 노력이라고요?

하지만 그런 개개인의 노력과 기대와는 다르게
졸업년도에 취업을 하지 못한 중고 취준생들을 기다린 건
나날이 줄어드는 신입사원 T.O와,
2011년부터 취업 시장에 쏟아져나온 1990년대의 어리고 똘똘한, 역대급 경쟁자들이었죠.
(90년대 출생자 추이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16/2017051602304.html)
베이비 붐 세대를 모두 포용했던 잘 나가던 대한민국은 사라졌는데 베이비 붐 만한 세대가 들이닥쳤어요.

시장은 얼었고, 물가는 오르고, 자리는 없는데, 일할 사람만 늘어나요.
이 상황이 10년, 17년, 23년전과 비슷한가요?

일자리 축소와 대졸 공급 과잉.
대기업 공채도 상,하반기 구분이 있던 시절도 과거가 됐고,
인턴/기간제/비정규직 등 감탄고토하는 건 일상이고,
임시직을 취업자로 통계내버려 갈 곳 없는 친구들을 낙오자로 만들어요.
유수의 대학을 졸업해도 제대로된 직장을 갖지 못해요.
기업들은 과잉된 노동력시장에서 입맛에 맞는 중고 신인을 뽑아요.

이 현상이 지속되다 보니 현 취준생들과 00년생 이후 아이들은 아예 새로운 선택을 하는거예요.
<대학 생활 4년에 드는 비용+취업 전선에서 허비할 시간의 기회 비용>과 <9급 공무원 취업 비용>사이에서 말이죠.

꾸준히 감소하는 대학 진학률과 이와 반대로 늘어나는 특성화고 진학률, 고교 취업률, 공무원 응시율 등
모든 수치가 내일이 불안정한 오늘, 확실치 않은 미래보다 조금이라도 계산이 서는 방향으로 쏠린다는 걸 말해주고 있어요.

'일반기업에 가면 꿈을 못꾸고, 공무원이 되면 꿈을 꾸냐'는 게 아니라, 본인들의 생존을 위한 선택이라고 봐야하겠죠.
요즘 애들은 꿈이 없는 게 아니예요. 단지 꿈 꿀 상황이 사치라고 생각하는 거죠.
점점 개인화되고, 단체보다 개인의 영달을 우선시하는 분위기에서 양육된 아이들에겐 어쩌면 당연한 선택이지 않을까싶어요.

물론, 이런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사회발전에 매우 기형적인 구조고,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죠.
하지만....모든 사회문제가 그렇듯 관심을 가져야 대책이 나오고 대책이 정립해야 해결이 되잖아요.

'내 주위는 안그래', '니 생각만 앞세우지마' 보다
'왜 그렇게 생각할까?', '원인이 뭘까?'라는 마음으로 바라봐주셨으면 하는 마음에서
이리 장황하게 글을 남깁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럭키포인트 303 개이득

NoEating 2020.01.08 00:00  
5드론 러쉬

럭키포인트 1,997 개이득

Destiny 2020.01.08 00:00  
자존감도 없냐  하고 싶은 것을 해야지 ㅡㅡ

럭키포인트 6,676 개이득

메르카토르 2020.01.08 00:10  
공무원 말고 대학가고 회사가면 꿈 있는건가?
의미없이 성적맞춰 대학가는 것보단 훨씬 나은 선택이지ㅋㅋㅋㅋㅋ

럭키포인트 6,523 개이득

형불렀냐 2020.01.08 01:36  
[@메르카토르] 이런생각을 하고있는 어린친구들이 많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반드시 어둡다.
메르카토르 2020.01.08 04:04  
[@형불렀냐] 꿈이 뭐라고 생각하는데요?
직업 = 꿈 인가요?

나도 30대지만, 어른들이 조언이랍시고 공무원 준비하는 애들한테 너는 꿈도없냐 이런말이 세상 그 어떤 말보다 꼰대라 생각되던데.. 공무원은 그럼 꿈없는 애들이 준비하는거고, 꿈 있는 애들은 회사들어가는건가.. 내 주변에 대기업, 공기업 간 애들 90프로는 연봉보고 가던데, 그걸 꿈이라고 할 수 있는건가?

외국에서도 있어봤지만, 우리나라만 유독 꿈 = 좋은 직장이란 생각이 강한거 같음. 그리고 결국 그런 요인들이 모여서 직장별로 사람들 계급을 나누고, 등급 매기고 이런게 너무나 당연시되는 느낌? 천민 자본주의의 전형이랄까?

 걍 내꿈은 주말엔 낚시하러 다니는거, 요리학원에서 배운걸로 음식 만들어서 주변 사람들한테 대접해주는거, 스쿠터나 오토바이 모으기 등등등 이런거지, 결코 좋은 직장 잡기가 아님.

직장은 꿈을 실현하기 위해 돈을 버는 수단이지, 직장 = 꿈이 결코 아니라 생각함. 고로 공무원 준비하는거면 꿈이없고, 자신감이나 미래에 대한 기대가 없다? 흠, 매우 공감하기 힘듦

럭키포인트 5,662 개이득

형불렀냐 2020.01.08 08:46  
[@메르카토르] 당연히 꿈이라는게 좋은 직업을 뜻하는게 아니죠.
그런데 가슴 뛰는 뭔가를 시도 하고 나서, 그길을 이어가든 현실적인 직업을 선택하든 하는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처음부터.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뜻이 있는게 아니고서야 그저 현실에 안주하게 위해서 공무원을 택하는 거라면 그 부분은 매우 안타까운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무원 슬렁슬렁 준비하는거 아니잔아요. 물론 한방에 합격하면 너무나좋겠지만 이닐가능성이 높겠죠. 그럼 나이는 먹어갈거고 그 사이에 잃는게 너무나 많을겁니다..
뇌피셜이 아니란거 아실거아닙니까.
일자무식 2020.01.08 09:17  
[@형불렀냐] 아니 근데 애들 초중고 12년동안 가슴이 뭐 뛸 게 있었겠어요...?? 그래봤자 야자하다가 휴대폰 만지는데 선생님 발소리에 가슴 뛰는 게 다일 텐데, 그냥 순서가 바뀐 거죠. 예전에는 꿈을 찾고 안정을 찾았다면, 요즘엔 안정부터 만들고 꿈을 찾음.

럭키포인트 6,220 개이득

형불렀냐 2020.01.08 11:44  
[@일자무식] 만약 초중고12년 동안 가슴뛸일이 없이 청소년들이 자라났다면...그건 너무나 슬픈일이네요..
그어느때보다 아무것도알수없는 내일이 두근거리는 시절일텐데.... ㅠ
맞춤법빌런 2020.01.08 07:53  
[@형불렀냐] 개인이 개인의 미래를 결정할 때 나라 생각까지 해야 함? 나라가 해 주는 게 뭔데? 한창 일 할 나이에 인생 2년 노역시키기?
형불렀냐 2020.01.08 08:48  
[@맞춤법빌런] 몆춤법형은 너무 핀트가 날아갔어 진정해~
쥬우쥬우 2020.01.08 08:14  
[@형불렀냐] 말만 그냥 ㅋㅋㅋㅋㅋㅋ 아무말이나 내뱉어보리기~

럭키포인트 3,895 개이득

Plank 2020.01.08 08:21  
[@형불렀냐] 형 꼰대 같이 왜 그래요
각자 하고 싶은 일 하며 사는건데

럭키포인트 4,692 개이득

형불렀냐 2020.01.08 08:40  
[@Plank] 꼰대같아보이는건 인정.
꿈 = 좋은직업가지기 는 당연히아니지.
내 생각엔 공무원이라는게 아주 한정되고 안정되고 변함이 없는 것을 추구하는 그런 직업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미성년자가 그런 직업을 선택한다는게 안타까워서 그래.뭔가 가슴뛰는 그런 일을 해 볼 수도 있는 건데 벌써부터 그 경쟁율마저 치열한 공무원이라는 직업을 선택한다는게 안타까워서 그렇지.
막상 공무원 된 친구들 얘기 들어보면 내가 이러려고 그렇게 고생해서 공무원 시험을 준비했나 싶을 정도로 뭔가 허탈하다고 하더라고

럭키포인트 6,737 개이득

Plank 2020.01.08 09:08  
[@형불렀냐] 맞는 말입니다
고추잡채 2020.01.08 19:33  
[@형불렀냐] 미래가어두우니 저런애들이많지
먹고사는것도 겨우하는 소시민에게 국가의 미래부터 걱정해야한다는건 현실성없음
오히려 국가도움없이 자기밥줄챙기고 가정꾸리고 평범하게 소비생활하는게 도움됨

럭키포인트 9,350 개이득

굵은악마 2020.01.08 00:14  
마치 유럽 17,18세기에 기술발전 엄청할때 공자왈,맹자왈 공무원 시험준비하는 조센이 연상된다

역사는 돌고 도는구나

럭키포인트 9,344 개이득

반사 2020.01.08 00:15  
부모님이 공무원이라는 걸 보니 알아서 인생 계획 짜준 듯
어떤 분야에서 특출난 재능이 없는 이상 요즘 시대에는 저게 제일 안정적이고 정답에 가깝긴 함

럭키포인트 6,060 개이득

덩키님 2020.01.08 04:02  
[@반사] 이게맞지 부모님 두분다 공무원이면 단점도물론보겠지만  장점들을 많이 봐왔을거 본인이생각하기에도 괜찬으니깐 선택했긋지ㅋ

럭키포인트 7,149 개이득

모나미 2020.01.08 07:56  
[@덩키님] 부모임이 공무원이라는 말은 어디에도 없습니다만
모나미 2020.01.08 07:56  
[@반사] 부모임이 공무원이라는 말은 어디에도 없습니다만

럭키포인트 4,922 개이득

루랑단 2020.01.08 00:26  
어중간한 대학가서
어중간하게 4년 보낼바에야...
그래도 20대 초반의 대학 생활은
살면서 평생 추억할만한거리일텐데...

럭키포인트 3,056 개이득

웃김 2020.01.08 00:54  
난 중소에서 몇년 썩다가 여기선 남은 인생 비전 없다고 판단해서 30대 중반에 행정직 합격한 경우인데 이렇다 저렇다 말들이 많지만 현직에 있는 분들 거의 자녀에게 이길을 추천함 / 정년 보장되고 호봉 차곡차곡 쌓이니까... 20살에 들어오면 보통 사무관 달고 나가니까 빨리 시작하면 할수록 좋음

럭키포인트 4,754 개이득

08램파드 2020.01.08 01:21  
나도 경찰공무원 해보겠다고 공부좀하다 때려치우고 회사다니지만 같이 공부하던 친구들 경찰되서 일하는거 보면 생각하던거랑은 많이다르더라 공무원이 일도 많고 박봉인건 알았지만 일은 많은데 내 연봉에 반인거보고 놀람 물론 의무감을 가지고 일하시는 분들이야 존경하지만 사회가 자꾸 공무원을 찬양하는 풍토는 좀 없어져야 할것같다

럭키포인트 9,537 개이득

시오시시오 2020.01.08 07:55  
다른 분야에서 못해먹을 것 같으면 미리 준비 할 수도 있지 뭐..

럭키포인트 7,368 개이득

모나미 2020.01.08 07:58  
공무원이 장래희망인 나라는 망하는 지름길이긴하지

공무원 솔직히 몇몇 직종 빼고는 빡대가리 아닌 이상 일반적인 뇌지능이면 다 할수있는건데 원래 공무원 5급 이렁거 제외하고 공무원은 그냥 대학 못가는 빡대가리들이나 가는게 맞는데 어쩌다가 우리나라 이렇게 됐냐 ㅋㅋ

기술이나 순수과학에 대접잘해줬으면 그 머리좋은 애들 다 그쪽으로 갔을텐데 우리나라가 과거에 일어설수있었던것도 한때 실업계가 공부 잘하는 애들 꽤나 가던 시절이라 그런것도 있는데 지금은 ㄹㅇ 공부 개못하는 애들이 실업계를 가니 뭐 우리나라 서서히 망하겠지
곰문곰 2020.01.08 08:12  
내자식이 공무원을 하겠다면 좋긴한데 대학은 꼭 다녔으면 좋겠다. 나도 그렇지만 대학생활하며 많은 사람들 만났고 많은 활동 했고 과, 동아리 생활도 즐거웠고 나이 꽤나 먹었는데도 한달에 두세번은 동기들 만나서 소주한잔하는데.. 그래서 대학은 꼭 갔으면 싶다

럭키포인트 9,898 개이득

사누 2020.01.08 08:24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가 대학임. 모두가 의미없이 4년제 대학으로감. 대학도 불필요하게 너무 많음...
독일식 직업학교 같은제도가 나라 근간을 일으키는거고 모두가 4년제대학에 의미없이 갈 이유가 없음.

저 친구꿈이 공무원이면 대학안가고 공무원시험 준비하는게 백번나은 판단임. 20대초반 술마시고 노는 추억만 추억이 아님

럭키포인트 1,235 개이득

맞춤법빌런 2020.01.08 11:16  
[@사누] 이게 맞지.
대학을 가서 꿈을 찾는 게 맞는 사회가 병든거임. 전공 몇이나 살린다고 4년을 갖다버림. 대학은 반, 아니 반의 반만 가도 된다고 본다
기욤패트리 2020.01.08 08:59  
나도 직업=생계수단 이라 생각하고 일함
소명의식이니 자아실현이니 다 집어치우고 받은 월급만큼 일한다는 생각임
내가 이 직장에서 꼭 필요한 사람인가? 아니면 부품 취급 받는거고
꼭 필요한 사람이면 그만큼 대우를 받고 있는가? 를 생각해야함
부품은 부품만큼의 일을 하면 된다. 부품이 되기 싫다면 자기계발을 하는 수밖에 없고

럭키포인트 988 개이득

형불렀냐 2020.01.09 01:20  
[@기욤패트리] 그럼..기욤님은 스스로를 부품이라고 생각하세요??
황제폐하 2020.01.08 09:08  
시바 그냥 사회나 현실이 싫다

럭키포인트 3,965 개이득

맏대로 2020.01.08 18:46  
금수저도 아니고 좋은 머리도 아니고 명문대 나온것도 아니고 외모가 뛰어난것도 아니면
공무원이 그나마 낫다. 최선은 아니지만 차선은 되는듯

럭키포인트 8,977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