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에어컨, 껐다가 켜면 전기세 폭탄? 진실은..

독심슐사 26 11664 32 0

여름만 되면 전기요금 폭탄 맞을까봐 두려워서 '에어컨 전기요금 아끼는 법'을 검색하곤 하시죠? 그런데 어디서는 '처음에 세게 틀었다가 끄라'고 하고, 또 어디서는 '껐다 켜면 전기요금 더 나오니 켜두라'고 하고... 대체 뭐가 맞는 거지? 여전히 속 시원한 답을 몰라 에어컨 켜길 망설이고 있는 분들을 위해 딱 알려드릴게요!

1. 전기요금 아끼는 방법? 에어컨마다 다르다!

세간에 알려진 방법이 이렇게 다른 이유는 바로 에어컨의 종류가 2가지이기 때문! 바로 구형 에어컨인 ‘정속형’이냐, 신형 에어컨인 ‘인버터’냐의 차이예요.

정속형? 인버터? 무슨 차이인데요?










정속형은 실내가 더우면 실외기가 빠르게 돌다가 희망온도만큼 시원해지면 실외기가 꺼지고, 실내가 다시 더워지면 빠르게 돌기를 반복해요. 반면 인버터는 희망온도만큼 시원해지더라도 실외기가 아예 꺼지지 않고 절전모드를 유지하며 천천히 꾸준~하게 계속 돌아가죠. 이런 차이 때문에 두 에어컨은 각각 전기요금 아끼는 법이 다르답니다.

‍♂️ 정속형이라면 : 세게 튼 다음, 껐다가, 다시 세게 트세요

우리집 에어컨이 정속형이라면 '처음에 세게 틀었다가 끄는' 방법이 맞아요. 예를 들어 처음 2시간만 세게 틀었다가 다음 2시간은 에어컨을 완전히 끄고, 실내 온도가 올라가면 다시 2시간 동안 에어컨을 켜길 반복하는 거예요.






실제로 12시간 내내 정속형 에어컨을 켰을 때와, 2시간 ON - 2시간 OFF - 2시간 ON을 반복했을 때의 예상 전기요금을 계산해봤더니 후자가 70%나 전기요금 절약 효과가 있다는 사실!

‍♀️ 인버터라면 : 껐다 켜지 말고 그냥 계속 켜두세요

반면 인버터 에어컨은 '그냥 계속 켜두는' 게 전기요금 아끼는 길이에요.








실제로 12시간 내내 에어컨을 틀어두는 게 23시간 간격으로 ON/OFF를 반복하는 것보다 예상 전기요금이 오히려 35% 더 싸거든요!

2. 우리집 에어컨 종류 확인하는 법

문제는 우리집 에어컨이 뭔지 어떻게 아냐는 거겠죠? 우선, 5년 이내에 새로 산 에어컨이라면 인버터일 가능성이 높아요. 2010년 들어서부터는 거의 모든 신형 에어컨은 인버터로 생산되고 있거든요. 하지만 내가 산 게 아니라서 잘 모르거나, 집에 이미 옵션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확인이 필요해요. 아래 3가지 방법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1. 실내기에 Inverter라는 말이 써져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보통 인버터 에어컨은 뽐내기 위해서 겉면에 써둔답니다

2. 모델명을 안다면 검색해보세요.
해당 모델의 상세페이지에 ‘초절전 인버터’ ‘듀얼 인버터’ 등으로 '인버터’라는 말이 들어가는지만 확인하면 돼요.

3.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5등급인가요?
실내기에 붙은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5등급인데다가 인버터란 말이 실내기에도, 상세페이지에도 없다면 정속형이에요.



생략

http://content.v.daum.net/v/co8cZTQMoe?from=mtop


요즘 대부분 인버터 아냐?
인버터는 그냥 쭉 틀어 놓는게 개이득임 

26 Comments
sooka 2021.07.18 20:42  
그리고 꼭 에어컨 킬때 선풍기나 서큘 같이 트세요!

럭키포인트 21,300 개이득

구포국수 2021.07.18 20:44  
에어컨와드

럭키포인트 22,663 개이득

대통령 2021.07.18 20:46  
그럼 끄지 말고 온도만 높이고 내리기만 해야겠네

럭키포인트 27,099 개이득

데미안릴라드 2021.07.18 20:46  
잠시 밖에 나갔다 올때 한두시간 정도면 키고 나갔다 오는게 나음
처음 켜서 적정 온도로 내릴때랑 적정온도 유지 할때 한시간 기준으로 3배정도 차이 나더라
원룸같이 좁은곳은 그냥 끄고가도 됨

럭키포인트 18,257 개이득

또라이 2021.07.18 20:47  
정속형이군

럭키포인트 22,645 개이득

오수형 2021.07.18 20:55  
아 전기세 폭탄맞겠네 ㅋㅋ
정속형인데 켜놓고 온도 내리고 계속 켜놨는데 ㅅㅂ

럭키포인트 28,347 개이득

모나미 2021.07.18 22:50  
[@오수형] 다른 지출 줄이고 걍 시원하게 사는것도 방법인거 같음
우리 스트레스 받을일 충분히 많잖어

럭키포인트 3,398 개이득

MinaSharonMyoi 2021.07.19 09:57  
[@모나미] 제가 올해 딱 이러고있음
올해 해외여향 안간다고 생각하고 걍 막씀

럭키포인트 11,724 개이득

PPAP 2021.07.18 21:05  
어제산거 듀얼인버터네

럭키포인트 11,195 개이득

캐롬 2021.07.18 21:16  
[@PPAP] 오 창문형?

럭키포인트 9,538 개이득

PPAP 2021.07.18 21:51  
[@캐롬] ㄴㄴ 창문이 옛날식이라 안달려서 이동식으로 샀음..
다시 2021.07.18 21:10  
이거 어떤 사람이 전기 사용량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실험한거 있던데
https://www.huffingtonpost.kr/twophase/story_b_17576326.html

럭키포인트 22,928 개이득

미기또 2021.07.18 21:12  
삼성 18년형 16평 25도로 맞춰서 12시간 돌려도 2kw 안 나온다.
아직 아이들이 어려 여름에 에어콘 매일 12시간씩 돌려도 아직 전기세 6만원 넘은 적 없음.
상세 비교는 힘들겠지만 10년 이상된 에어콘은 바꾸는게 전기세 절약이 많이 된다.
우리도 에어콘 바꾸기 전 전기세 여름에 15만원 이하로 나온 적이 드물다가 에어콘 바꾼 후 전기세 많이 절약했다.

럭키포인트 28,549 개이득

오고 2021.07.18 21:15  
작년에 인버터 10시간이상씩 한달 나온거보니깐 다합쳐서 전기세 10만원 좀 안되게나옴
그마저도 키기전에도 4만원 정돈 나오던거라 그뒤로 걱정없이 그냥 출근할때 끄고 퇴근하면 킴

럭키포인트 16,083 개이득

리버풀 2021.07.18 21:38  
아나 쓔방 설치한지 3년정도 됐는데 왜 2012년형 정속형이냐 ㅋㅋㅋㅋ
사기먹었나

럭키포인트 19,137 개이득

갓트리버 2021.07.18 21:52  
벽걸이는 그냥 24시간 틀어도 20kwh 안나오네

정속이든 인버터든 그닥 상관 없을듯

럭키포인트 13,384 개이득

PPAP 2021.07.18 22:02  
저거 인버터인데 절전모드가 따로있는경우는 어케해야됨??
콘샐 2021.07.18 23:00  
[@PPAP] 더아껴쓰는거지

럭키포인트 24,493 개이득

PPAP 2021.07.18 23:12  
[@콘샐] 오홍 바로 켰음
한국 2021.07.19 02:55  
에어컨

럭키포인트 16,809 개이득

레드벨벳 2021.07.19 05:35  
ㅇㄷ

럭키포인트 16,131 개이득

요괴소년호야 2021.07.19 07:38  
에어컨

럭키포인트 9,451 개이득

댓글유도빌런 2021.07.19 08:20  
절반쓰면 절반 가격이어야하는데 누진세 때문에 더 싸진거처럼 보이는거네.
결국 전기 많이 쓰면 지수함수처럼 증가폭이 크니까 누진세를 없에면 키는만큼 내는거네

럭키포인트 28,008 개이득

Gimori 2021.07.19 09:37  
문제는 듀얼인버터에 5등급인데..

그냥 인버터 적혀있으니 틀어놓는게 맞겟죠?

럭키포인트 5,283 개이득

도리도리곰 2021.07.19 10:45  
1년중 여름 한철  사용하고
인버터 형식이라
걍 팍팍 쓰고 있습니다;;

럭키포인트 7,526 개이득

1조 2021.07.19 10:56  
이런 걱정없이 살아보고싶다..

럭키포인트 11,813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