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서강대 철학과 교수가 말하는 요즘 젊은이들

불량우유 17 6090 14 2


 

(흥미로운 부분만 짤막하게 타이핑해서 옮겨옴)

 

 

 

Q : 왜 요즘 사람들은 책을 안보나요?

 

예술은 집중을 하고 생각을 해야만 거기서 쾌락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예능은 생각을 안해야 쾌락을 얻을 수 있어요.

 

예능을 보면서 깊은 생각에 빠지면 예능으로부터 깊은 재미를 얻을 수가 없어요.

 

이게 큰 차이입니다.

 

생각을 해야 쾌락이 생기면 예술, 생각을 안해야 쾌락이 생기면 예능.

 

근데 왜 사람들은 예술보다 예능을 쉽게 즐길까요?

 

생각하기 싫어해서 그럽니다.

 

그러면 왜 생각하기 싫으냐?

 

생각하는 것은 힘이 들거든요.

 

힘이 드는 수고를 하지 않으면 생각을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을 얻을 수가 없습니다.

 

 

 

 

Q. 큰 생각을 가지라고 하셨는데 요즘 젊은이들의 행복은 소박하고 개인적이지 않나요?

 

소확행이라는건 무라카미 하루키가 처음 썼잖아요.

 

무라카미 하루키는 세계를 노래하는 사람이에요.

 

세계를 노래하는 사람이 어느날 옷장 서랍을 열어보니까 세탁이 잘된 옷을 보고 행복을 느끼는겁니다.

 

이 작은 행복을 통해서 큰 생각을 하는거죠.

 

작은것에 만족하는게 소확행이 아니라 작은 것에 만족하는 것을 통해 내가 성장할 수 있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작은 행복을 통해 큰 생각으로 연결시키려는 욕망이랄지, 용기가 없으면 그냥 이 작은 행복에서 만족(멈추는) 거죠.

 

자잘한 행복, 그게 전부인줄 알고 소확행 소확행 하는 것은 이 세계를 자기 꿈과 포부로 살겠다는 의지는 없고

 

그냥 자본주의의 부스러기나 받아먹으면서 심리적 만족을 행복으로 착각하며 사는 매우 나약한 태도라고 봐요.

 

 

 

Q. 젊은이들이 더 높은 이상을 가지려면 뭘 해야하나요?

 

모든 수련의 핵심은 나를 보는 거잖아요?

 

우리는 인식을 해야해요.

 

인생이 매우 짧다는것을 알면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질문이 나와요.

 

인생에 대한 질문이 나오지 않는다면 이 이상의 삶이 없는 사람이에요.

 

이 이상의 삶을 원하는 사람은 '나는 누구인가' 물어야 해요.

 

'나는 무엇을 원하는가'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죽기 전까지 내가 완수해야할 소명은 무엇인가'

 

이런 묻는 행위도 하지 않으면서 창의적이고 싶다, 지금보다 잘 살고 싶다 하는 것은 아이슈타인 말대로 정신분열이죠.

 

헤르만 헤세는 이렇게 말했어요.

 

'모든 인간은 자기 자신 이상이다'

 

그렇다고 모든 인간이 자기 자신 이상을 도전하거나 자기 자신 이상으로 살다 갈 수는 없어요.

 

자기 자신 이상을 살고 싶은 사람은 지금 자기 자신 이상을 욕망해야해요.

 

자기 자신 이상의 삶을 살려는 인간의 목적, 여정은 자기 자신을 향해서 걷는 일이에요.

 

자기 자신을 향해서 걷는다는 것은 내가 누구인지 안다는 것이에요.

 

내가 누구인지 아는 사람한테만 질문하는 것이 허용돼요.

 

좋은 질문 나쁜 질문은 없어요.

 

질문이 나오기만 하면, 그게 자각되기만 하면 백점이에요.



*개드립펌

17 Comments
처키 2021.02.22 11:26  
요즘 내 머릿속을 가득 채우던 내용이 '생각하는 삶을 살아야하는데..' 였는데
뭔가 딱 들어맞는 내용이네요.
책을 좀 읽어야겠다

럭키포인트 18,464 개이득

홍구님 2021.02.22 11:28  
나도 책을 안 읽은지 너무 오래됐고, 컴퓨터나 폰으로 커뮤니티 글이나 뉴스만 읽다보니 난독증이 오는거 같아... 차분하게 책 좀 읽어야지.

럭키포인트 7,487 개이득

jiujs 2021.02.22 22:00  
[@홍구님] 나도 요즘 이거 느껴요...

럭키포인트 23,766 개이득

구글봇 2021.02.22 11:30  
당장 취업하기도 힘들고 취업해서도 먹고 살기도 힘든데 이상을 가지라하고 크게 보라는 것 자체가 힘들지..
소확행이 유행한 것 자체가 작은 것에서라도 의미를 찾아야 버틸 수 있으니 찾게 되는 것인데..

럭키포인트 4,928 개이득

하엠봉 2021.02.22 22:34  
[@구글봇] 맞음.. 자립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의식주가 먼저 해결이 되어야지..

럭키포인트 24,374 개이득

룩끼 2021.02.23 00:30  
[@구글봇] 글쎄 내가 생각하는 소확행이 유행한 이유는 자기 소비에 대한 합리화도구로 좋은 프레임이라서임.  주위를 봐도 언론을 봐도 진짜 먹고살기 힘든데 소소한거 하나로 소확행이라 쓰는 케이스보다 그냥 사고싶은거 사고 그 소비에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소확행 쓰는 케이스가 훨 많은 것 같음. 자기돈을 어떻게 얼마나 소비할지는 자기마음이지만 소확행이라는 단어로 먼저 나서서 방어막을 치는 기분

럭키포인트 20,836 개이득

용랑제십봉 2021.02.22 11:32  
당장 이 글 조차도 길어서 안 보려고 했다는 게 무엇보다 가장 큰 충격이다...
제대로 정독하고 곱씹어봐야지.
개집왕 미안
당분간 접속안하고 내 세상 좀 둘러보고 올게!
ㅋㅋ ㅅㄱ!

럭키포인트 22,323 개이득

샌즈 2021.02.22 11:45  
[@용랑제십봉] 해치웠나

럭키포인트 3,172 개이득

댓글유도빌런 2021.02.24 19:46  
[@용랑제십봉] ㅇㅅㅇㄱ

럭키포인트 7,795 개이득

Wera 2021.02.22 11:51  
공감이 가네
정작 자기 자신은 외면하고
타인과 환경만 보고 비교하고 때론 좌절하는 게 안타깝게 느껴지는데
답은 결국 자기 자신에게 있다
세상은 누가 바꿔주는 게 아니다
내가 바뀌어야 내가 사는 세상이 변하는 거다

럭키포인트 27,956 개이득

마피 2021.02.22 11:55  
자기 이상을 위해 살아온 철학과의 최고정점 철학연구회 화장이 이번 보겸 윤지선 보이루 논란에서 페미 응호하냐?

럭키포인트 22,850 개이득

흑관종 2021.02.22 11:58  
높은 이상은 실천해야 행복인가?
실현할수 있는 목표를 실천하고 일상속에서 소소한 재미를 느끼고 자신이 행복하면 그만이지
머 여러이유도 있지만 책을 안보는 가장 큰이유는 접근성이라생각함
 티비 휴대폰 여러 수단으로 쉽게 접근 할수 있는 예능에 비해
 예술 책 공연 연극은 비용과 발품이 드니 안가고 좀 여유가 되야가는거지
책한권 2만원인데 한번 읽기엔 힘들지 머 e북도 발달하지만 아직 부족하고

럭키포인트 22,103 개이득

후에에엥 2021.02.22 13:06  
[@흑관종] 글츄 사람마다 느끼는 행복이 다른데

럭키포인트 10,826 개이득

리버풀 2021.02.22 22:27  
저 발언에 관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생각을 하고있네

럭키포인트 25,688 개이득

하하 2021.02.22 22:51  
공감함

럭키포인트 7,022 개이득

내가니M이다 2021.02.23 08:10  



벌써 2010년에 이 사태를 예상한 책이 있었음.

럭키포인트 11,780 개이득

댓글유도빌런 2021.02.24 19:54  
콘텐츠가 사람들에의해 자연스럽게 변화한것인데, 글이 옛날부터 있었다고해서 옳은것이라하는것은 변화를 못받아들이는것이다.
- Adaking -
제목